* 그래픽카드 또한 대체 가능한 nVIDIA 및 AMD 제품으로 바꾸셔도 됩니다.(설명 써놓음)
20만원대 사무용 PC
용도 : 인터넷, 문서작성, 저사양 게임(스타1, 카트라이더 등)
최소 수준의 PC 사양이긴 하지만 인터넷, 문서작성에는 아무런 문제 없는 실속 사무형 PC 입니다.
지난 6월 견적에 비해 거의 같은 사양입니다만 나중을 위해 350W 보다 좋은 400W급 파워를 선택했습니다.
(그래도 고급 그래픽카드 장착은 어렵고 10만원대 그래픽카드까지는 커버할 수 있을 겁니다.)
30만원대 가정용 PC
용도 : 인터넷, 문서작성, 각종 온라인 게임(중옵)
20만원대 PC에 그래픽카드 5750과 메모리 2GB를 추가한 사양입니다. 저렴한 가격으로 게임까지 커버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PC 입니다.
5750과의 동급 그래픽카드는 6750과 GTS450이 있지만 5750의 가격이 더 저렴하므로 5750을 추천합니다.
40만원대 쿼드코어 PC
용도 : 동영상 인코딩, 온라인게임(중상옵 이상), 기타 고사양 작업
쿼드코어 CPU를 가장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견적입니다. 쿼드코어를 사용하면 동영상 인코딩이나 다중 작업시 유리합니다만 게임에서는 크게 유리하진 않습니다. 게임 비중이 높다면 아래 40만원대 게임용 PC를 참고하세요.
30만원대에선 5750을 선택하고 여기서는 GTS450을 선택한 이유는, 메모리가 1GB일 때 가격상 GTS450이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30만원대는 512MB)
당초 GTS450보다는 5770을 선택하려 했으나 5770 이 단종(?)되어 수급이 불안하여 구하기 쉽지 않아 GTS450으로 하였습니다.
40만원대 게임용 가성비 PC
용도 : 각종 게임 (중상옵 이상)
듀얼코어지만 게임이나 단일 작업시에는 AMD 데네브(쿼드코어)보다 좋은 성능을 낼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와고인 대부분에게 가장 적절한 사양이라 생각합니다.
50만원대 게임용 PC
용도 : 각종 게임(상옵 이상)
40만원대 게임용 PC보다 그래픽카드를 더 좋은걸 장착했습니다.
6월에 추천드렸던 라데온5850은 수급이 불안한데다가 가격이 상승하여
비슷한 성능을 내는 6850으로 대체하였습니다.
nVIDIA 제품을 원한다면 GTX460 을 선택하셔도 무리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온라인게임에서 최고 옵션을 주어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사양입니다.
60만원대 고급형 다용도 PC
용도 : 각종 게임(상옵 이상) + 각종 고사양 작업(인코딩, 그래픽작업 등)
CPU와 하드디스크를 제외하면 50만원대 게임용PC와 같은 견적입니다.
게임 외적으로도 다양한 작업을 원하시는 분에게 추천합니다.
마찬가지로 nVIDIA 제품을 원한다면 GTX460 을 선택하셔도 무리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온라인게임에서 최고 옵션을 주어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사양입니다.
70만원대 업글 고려형 PC
용도 : 각종 게임(상옵 이상) + 각종 고사양 작업(인코딩, 그래픽작업 등)
60만원대와 사양과 메모리용량을 제외한 성능은 거의 같습니다.
메인보드만 바뀌었는데 차후 듀얼그래픽카드(SLI, 크로스파이어) 구성이나 오버클럭, 메모리 추가 등을 고려한 사양입니다.
업그레이드 계획이 없다면 60만원대 PC 선택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80만원대 최고급 게임용 PC
용도 : 아무거나 다 됨
현재 이보다 높은 사양은 거의 필요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모든 온라인 게임에서 풀옵션이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작업에 유리하도록 8GB의 메모리를 끼운데다 차후 16GB까지 늘려서
가상메모리를 전혀 쓰지 않고도 고사양 게임을 할 수 있는 준비가 된 PC라 할 수 있겠습니다.
GTX560은 6950과 비슷하거나 약간 나쁜 성능을 내지만 전력소모 면이나 드라이버 안정성 등에서 GTX560이 더 유리한 측면이 있으므로 GTX560을 추천하였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좋은 성능을 원하시면 6950을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그외 돈지랄 옵션
돈이 많다면 여러가지 효율을 낼 수 있는 부품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여유가 있고 필요해서 구입한다면 돈지랄은 결코 아닙니다.
각종 쿨러 : 오버클럭, 저소음 구현시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보통 유저에겐 필요 없습니다.
SSD : 하드디스크를 자료 저장용으로 쓰고, SSD를 윈도우, 프로그램용으로 쓰면 체감속도가 무지하게 증가합니다.
SLI, 크로스파이어 : 그래픽카드를 2개 장착하여 1개 장착때보다 1.5배 정도의 성능 향상을 낼 수 있습니다. 보드에서 지원해야 됩니다.
고급 케이스 : 케이스는 한 번 사면 10년 이상 쓸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케이스를 선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통풍이 잘 되고 무거워서 오버클럭에도 좋고 소음을 잡아주는데도 좋습니다. 조립/분해시에도 더 편합니다.
보통은 크고 무겁기 때문에 공간이 적절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10만원이 싼축에 속하는 고급 케이스 ㅠ_ㅠ
고급 파워 : 파워는 컴퓨터의 심장이라 부를 만큼 중요합니다.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좋은 제품을 사면 10년 이상 쓸 수 있으며 안정적인 전기 공급으로 컴퓨터의 고장을 예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것도 없고 성능 향상도 없어서 보통 5만원 내외의 파워를 선택합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고급 파워는 적어도 7만원 이상인 파워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