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R4 기반 부품들은 제외합니다 (ex : 5600, 5700x3d, A520, B550, DDR4 램 등)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D5로 넘어오면서 가격 안정화도 어느정도 이루어진 만큼 쓰다가 통째로 바꾸겠다라는 마인드가 아니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AMD의 최대 장점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단 점이니 이점을 꼭 인지하고 한번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CPU]
7500F - 임시용으로 사용하는 CPU입니다 (만족하신다면 업그레이드 굳이 안하셔도 됩니다)
6코어 12쓰레드 구성
7500F를 사용하다 업그레이드를 하는 방향으로 생각해보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작업을 하겠다면 7900, 7950x3D, 9950x(가격 안정화후 구매) 등으로 업그레이드하면 되고
게임을 하겠다면 9600x, 7800x3D, 7950x3D, 9800x3D 등으로 업그레이드하면 됩니다
7900 - 원컴방송용, 작업용으로 제일 저렴한 CPU입니다
12코어 24쓰레드 구성
x라인업들과 다르게 듀얼공랭쿨러로 커버가 가능한 것이 장점입니다
7950x3D - 작업과 게임을 병행하시는 분들이 선택하는 CPU입니다
16코어 32쓰레드 구성
듀얼공랭쿨러로 커버가 가능합니다
9950x3D가 출시하면 대체될 것으로 예상되나 추가적인 가격인하로 좋은 선택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9600x - 7800x3D, 9800x3D등 x3D 품귀현상으로 인해 대체안으로 골라볼만한 CPU입니다
6코어 12쓰레드 구성
예상외로 게임프레임이 잘 나오는 편이며 여기에 만족하여 x3D를 고집하지 않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만
x3D의 인기가 워낙 하늘을 치솟다보니 선택하는 분이 많을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는 9600x도 충분히 좋은 선택지라 생각하며 현재 알리에서 2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으니 숨겨진 가성비 CPU라고 생각합니다
7800x3D, 9800x3D - 게이밍 졸업을 하고 싶으시다면 매물 생길때 바로 구매하세요
단 7800x3D는 7900x3D, 7950x3D랑 가격이 비슷하면 x
고민하지말고 구매할 수 있으면 제발 구매하세요 저한테 뭐 물어보기전에 손을 먼저 움직이세요
[메인보드]
이번 AM5 메인보드의 경우 B보드에서 모든걸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단점은 예전에 비해 하위보드를 택하더라도 10만원 이상의 가격이라는 점
장점은 역시나 X보드같은 상위보드를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사람들마다 메인보드 보는 기준이 다른 편인데 저는 무조건 전원부가 1순위입니다
고로 B650m K처럼 Dr.Mos 전원부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암페어가 낮은 메인보드는 취급하지 않습니다
X870 보드가 출시되긴 하였으나 인기매물들은 금방 빠지는 편이라 정말 필요한 분들에게만 제품 설명을 해드릴테니 요청주세요
B650MT - high-low 350A급 전원부, SSD 슬롯 1개, 램 슬롯 2개
A보드대신 선택하는 보드입니다
컴퓨터를 새로 사야하는데 메인보드에 돈을 최대한 빼고 싶다고 할때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7800x3D 충분히 사용할 수 있고 9800x3D도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7800x3D 풀로드시 85w, 9800x3D 풀로드시 135w)
B650m PG Lightning - Dr.Mos 300A급 전원부, SSD 슬롯 3개, 램 슬롯 4개, 5v RGB o
현시점 가장 가성비 좋은 보드입니다
7800x3D, 9800x3D (풀로드시 성능저하 우려 있으나 게이밍의 경우 없을 것으로 예상) 사용 가능
SSD 방열판이 없으나 슬롯 3개에 pcie 4.0 ssd를 전부 장착할 수 있다는게 장점입니다
램슬롯도 4개를 주기 때문에 혹여나 2,4번 슬롯이 고장날 경우 1,3번으로 옮겨 사용이 가능하며
5v RGB를 주기 때문에 쿨러 색상도 마음대로 줄 수 있다는 것또한 장점이겠네요
B650m Pro RS - Dr.Mos 400A급 전원부, SSD 슬롯 3개, 램 슬롯 4개, 전원부 방열판 o, SSD 방열판 o 5v RGB o, 일체형 I/O쉴드 o
화이트감성으로 갈때 가장 가성비 좋은 보드입니다
7800x3D, 9800x3D 무리없이 사용 가능하며
7950x, 9950x의 경우 성능하락이 있는 편이니 에코모드나 전력제한으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메인보드 졸업의 최소라인이 이 보드라고 생각합니다
B650 Livemixer - Dr.Mos 840A급 전원부, SSD 슬롯 3개, 램 슬롯 4개, 전원부 방열판 o, SSD 방열판 o, 5v RGB o, 일체형 I/O쉴드 o, PCIE 슬롯 3개
ATX보드중 가장 가성비가 좋은 보드입니다
4090, 5090 장착시 2번 슬롯은 간섭이 있으나 3번 슬롯은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립타이드, 박격포, 토마호크, 어로스엘리트 등의 선택지를 전부 죽여버릴 정도로 파격적인 가격포지션이라고 보면 됩니다
USB 포트가 괴랄하게 많지만 포트를 많이 사용할수록 레인공유때문에 성능하락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용 못하는게 아닙니다 이거 잘못 알고 계신분들 많더라고요 PCIE 레인공유로 SATA 포트가 대신 죽는겁니다)
아쉽게 탈락한 보드가 컬러풀 메인보드인데 바이오스 지원여부 미지수라는 점이 발목을 잡아 아쉽게도 후보군에 탈락하였습니다
만약 바이오스 지원여부가 해결된다면 Livemixer를 제외하고 저 제품들 싹다 올킬입니다
[그래픽카드]
종류가 너무 많아서 텍스트로만 대체합니다
브랜드의 경우
라데온 - 사파이어, 파워컬러, XFX
엔비디아 - STCOM, 조텍, 이엠텍, 갤럭시
FHD : 가성비 - RX 580 2048sp(10만원대) / 졸업 - RX 7600, RTX 4060
4060ti까지는 구매할 필요없이 제외합니다
QHD : 가성비 - RX 7900 GRE, RTX 4070 super / 졸업 - RTX 4070ti super
꼭 슈퍼제품으로 구매하세요.. 일반 4070은 구매하는거 아닙니다
4K : 가성비 - 4080 super / 졸업 - RTX 4090
7900XTX 꿀매물이 별로 없어서 4080부터 시작하면 되겠습니다
4070ti super는 4k로 가자니 좀 애매하지만 고려해볼 순 있겠습니다
브랜드와 해상도를 종합하여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ex) FHD 가성비로 구매하고 싶다 -> 갤럭시 RTX4060 제품
[메모리]
DDR5의 경우 삼성, 마이크론의 오버클럭이나 자체수율이 좋지 못함과 동시에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는 점으로 제외됩니다
채택한 제품들은 전부 하이닉스계열 램이에요
저 셋중 가장 저렴한 EVO는 M다이, A다이 랜덤
SGINATURE랑 KLEVV는 A다이
A다이가 좀 더 오버클럭 수율이 좋다고 알려져있는데 안정성은 M다이가 더 좋다고 합니다
램의 경우 정답은 없고 그날 시세에 따라 맞게 골라가시면 됩니다
[SSD]
키오시아 G2 - 보증기간 5년, 정품
가성비가 제일 좋고 PCIE 3.0 준대장급 성능을 가지고 있어요
온도가 조금 높다는 얘기가 있으나 방열판도 같이 주기 때문에 문제될건 없고
메인보드에 3.0 슬롯이 남거나 돈을 아끼고 싶을때 가는 제품입니다
솔리다임 P44 - 보증기간 3년, 벌크
하이닉스 P41과 같은 스펙이며 PCIE 4.0 대장급 성능을 가지고 있어요
제가 PM9A1을 추천드리지 않았던 이유는 OEM 버전이기 때문에 펌웨어나 제품자체의 이슈가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점이었는데
솔리다임의 경우 정식판매하는 방식이라 이런 점에서 추천드릴 수 있다고 봅니다
단점은 보증기간 3년과 벌크라는 점에서 유통이 OEM과 같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WD SN850x - 보증기간 5년, 정품
개인적으로 제일 애용하는 제품입니다 PCIE 4.0 대장급 성능을 가지고 있어요
동스펙격인 980 pro나 P41의 경우 짜잘한 이슈들이 하나씩 있는데 이 제품은 놀랍게도 이슈가 없습니다
WD라는 회사가 주는 신뢰성과 제품의 퍼포먼스, 논이슈 등을 고려했을 때 가장 좋은 선택지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가격도 저렴해서 제일 추천드리는 편입니다
[케이스]
케이스는 설명할 것이 너무 많아 간단히 용도로만 정리하겠습니다
(조립 편의성, 섀시 두께, 선정리, C타입 지원 등...)
수랭교체 생각없고 공랭중에 쿨링솔루션 제일 좋은 제품으로 고르고 싶다 -> Pray 30 plus
공랭으로 쓰다가 360 수랭으로 교체가능하고 RGB 있는 제품 쓰고싶다 -> COX G400 마그넷
수랭만 사용할 생각이고 420 수랭까지 장착하고 싶다 -> VENTI D2000
Pray 30 plus랑 VENTI D2000은 직접 사용해봤고 굉장히 훌륭한 케이스에요 저 가격이 전혀 아깝지 않았습니다 돈 더줘도 되겠다 싶었습니다
G400도 조만간 직접 사용해볼 계획이라 더 기대되네요
동가격대의 DRX70은 사용해봤는데 너무 실망했었거든요 섀시 두께나 RGB가 너무 촌스러웠는데 아마 더 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쿨러]
7500F나 9600x같은 CPU를 사용중일때 싱글타워로 제일 저렴하게 사용하고 싶다
-> AG400 DIGITAL
듀얼공랭쿨러 중에서 히트파이프 6개 이상 들어가있고 소음이 정숙한 쿨러를 찾는다
-> PA120SE
듀얼공랭쿨러 중에서 RGB가 있는 쿨러를 찾는다
-> Ellsworth D21 ARGB
듀얼공랭쿨러 중에서 온도 잘잡는 대장급 쿨러를 찾는다
-> Pentawave Z06D
무난한 3열 수냉쿨러를 찾는다
-> 다크플래시 NEBULA DN-360
무난한 4열 수냉쿨러를 찾는다
-> 써멀테이크 TH420 V2
요즘은 쿨러가 많이 상향평준화되어 성능별 차이가 크게 없으므로 선호도, 신뢰도, 가격 등을 고려하여 골라봤습니다
히트파이프 갯수가 부실하다거나 그런 제품은 없으니 취향에 맞게 고르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AG620도 좋은 선택지인데 개인적으로 더 선호하는건 PA120SE라서 제외했습니다
다만 PA120SE는 재고가 빠지는 경우도 있어서 그럴땐 AG620을 사용하세요
[파워]
사무용 -> 500w
게임용
FHD -> 700w
QHD -> 850w
4K -> 850w ~ 1000w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하급파워는 다 거기서 거기라 보증기간이나 캐패시터(일본산), 보호회로 등만 간단히 살펴보는 편인데
사람들마다 선호하는 파워가 다 달라서 뭐라 정답은 없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에너지옵티머스 굉장히 선호하는 편입니다 주변 컴가게 아재들도 많이 쓰고있고 불량도 잘 못봤어요
마이크로닉스는 저랑 궁합이 좀 안맞았고 맥스엘리트는 요즘 BARON 재고가 많이 없고 원가절감형 라인업만 나오네요
골드등급 이상 중급파워로 넘어가면 스펙시트를 한번 확인하고 브랜드 신뢰도를 따져봅니다
엔티스의 경우 기본적인 부품들은 들어가있는 편인데 표본이 적고 원가절감형태다보니 12v 전압이 낮아 그래픽카드 순간부하에 취약할 수도 있는데
보증기간과 A/S 대응, 저렴한 가격 등으로 믿는 구석이 있어 선택하는 편이에요
좀더 파워에 투자하고 싶다면 쿨러마스터, 졸업을 하고 싶다면 FSP를 가는 순으로 보시면 됩니다
500W -> 에너지옵티머스 EXCEL 브론즈
700W -> 쿨러마스터 MWE 브론즈, 에너지옵티머스 EXCEL 브론즈
850W -> 쿨러마스터 GX II, FSP HYDRO G PRO
1000W -> FSP HYDRO G PRO, 엔티스 EG (RTX4080까지만 사용을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