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염강림팁과 친절도는 큰 상관이 없다는게 요즘 대부분 연구 결과임.
해외에서 팁이 강제되는 나라는 사실상 미국뿐이고 나머지는 그냥 고객의 호의임.
팁플레이션으로 미국조차도 이제 팁에 대한 불만이 많이 누적되고 있는게 현 상황이고.
팁의 원조인 유럽조차 이거 ㅈ 같은 시스템이구나 하고 사실상 철폐된걸 들여오자고요?
@바조바조예시를 뭐 좀 잘못든건 ㅇㅈ
근데 너의 예시도 좀 잘못됐다고 생각하는게
보통 팁문화는 해외여행갔을때 많은데 내가 팁문화를 정확히 모르지만
우리나라에 일반 음식점들중엔 팁문화라는게 거의 없을정도고 해외의 팁문화도
계산 끝나고 그냥 어느정도 자율적으로 주는분위기로 알고있는데
그사람이 팁을 줄지 안줄지 얼만큼 줄지도 모르는데 팁때문에 차등을둔다? 말안되지
오히려 대접을 더 잘해서 팁을 유도한다가 맞지않나?
차라리 저 옵션을 클릭하고 시켰을때와 클릭하지않고 시켰을때 음식의 차이가 있어서 팩트로 조진거라면 인정하겠는데
그냥 저옵션때문에 차등둘거같다고 생각하는건 피해의식같은데
도대체 음식점에서 팁때문에 차등을 둔다는 어떤 사례를 근거로 말씀하지는지좀 알려주시죠
그냥 보통그러더라 이런식으로 가정해서 말하면 의미없고
@바조바조너 어디아파? 팁문화 좋아하는 사람이 어딨냐 이세상에
그냥 쌩돈나간다 생각하는걸 좋아하는사람이 어딨어
오히려 그런 팁없이 대우 더받고싶은게 사람마음인데
너는 이걸 굳이 검색해봐야 사람들이 팁문화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알아?
로마에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것처럼 그런 문화가 있는곳에 갔으면
최대한 그 문화를 이해하려고하고 맞추려고 하는것뿐이지 누가 그 문화를 좋아하겠냐
그리고 팁으로 인해 대우가 좋아지는건 그건 대우를 받는게 아니라 그냥 내가 그 행동을 돈으로 구매한거지
팁이라는게 같은 대우를 받았을떄 본인이 만족한만큼 사례를 하는건데 대우가 달라지는게 무슨 팁문화임?
애초에 이해를 못하고 왜 딴지를 거는지 이해가 안되네
마케팅적으로도 악수임. 한 번 갸우뚱할만한 항목을 넣으면 그동안 빠르게 메뉴와 퀄리티만 보고 주문 누르던 고객들이 이제 더 많이 재고 따지는 현상이 생겨날 수밖에 없지. 배달의 장점이자 단점은 주문 고객과 식당 간의 물리적 접촉이 없다는 점인데, 저 항목 하나 추가함으로서 고객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접촉을 하나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음. 구매자, 고객 입장에서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드는 마케팅은 망한 전략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