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알쓸신잡 03 - [ 쿨 다운 ] : 스타 전략전술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0
게임 0
유물

실시간인기

알쓸신잡 03 - [ 쿨 다운 ] [11]

Minerals : 3,158,435 / Level : 준장 준장
2018-11-22 00:19:18 (6년 전) / READ : 6635



    쿨 다운


     

    지상 유닛

    지상 쿨.png


    공중 유닛

    공중 쿨.png

     

     

    단위 설명



    원래 데이터 상에는 프레임 수치로 쿨 다운을 명시하지만,

    쉬운 이해를 위해, 여기서는 프레임 수를 '현실 시간 초'로 계산한 수치를 사용.


    저글링을 예로,

    원래 데이터 상 쿨 다운 값은 ‘8 프레임’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42 ms (밀리세컨드) 의 딜레이 (Fastest 게임 속도 기준) 를 감안,

    8 x 42 ÷ 1000 = '0.336 초' 라는 현실 시간 쿨 다운 값을 도출 해낼 수 있음.


    그니깐 저글링은 현실 시간 1 초에 대략 3 번 정도 때리는거임.

    아드레날린 업을 해주면 1 초에 4 번 정도 때리는거고.


    이 글과 앞으로의 글에서 '쿨 다운' 과 '쿨 타임' 이라는 용어를 같은 의미로 혼용함




     

    ※ 주의 사항 ( * 표시 유닛 )



    [ 0.042 초 ]


    쿨 다운 값이 ' 0.042 초 ' 인 유닛들은,

    게임 데이터 상 쿨 다운이 ‘ 1 프레임 ’ 인 유닛.


    스캐럽 / 인페스티드 테란 / 스커지 류의 자폭 유닛들이

    공통적으로 ' 1 프레임 ' (= 0.042 초) 인 것은 알아서들 해석.


    스캐럽의 쿨다운은

    리버로 부터 나오는 스캐럽이 아니라,

    스캐럽이라는 ‘유닛’이 사용하는 스캐럽 ‘무기’ 에 대한 쿨 다운을 의미.


    인페스티드 테란과 스커지라는

    ‘유닛’이 사용하는 수어사이드(자폭) ‘무기’ 와 같은 개념.


    *엄밀히 리버와 캐리어는 무기가 없는 유닛.

    리버는 스캐럽 유닛 (옛 스타 영문 가이드북에 따르면 ‘Scarab Drones’ 라고 표현) 을,

    캐리어는 인터셉터 유닛을 몸체로부터 풀어 (Unleash) 줘서,

    각각의 유닛이 스캐럽과, 파동포 (Pulse Canon) 라 명명된 ‘무기’를 사용하는 것.


    인터셉터 쿨 다운 '1 프레임' 은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음.


     

     

    [ 마법, 능력 쿨 다운 ]


    할루시 / 클로킹 / 리콜 / 디펜시브 - 데이터 없음.  뇌피셜


     

    핵 미사일 투하야마토


    여기서의 핵도 '터지는 핵' 이 아닌

    고스트라는 ‘유닛’ 이 사용하는 Nuclear Strike ( = 핵 미사일 투하 ) ‘무기’ 에 대한 쿨 다운 값.


    데이터상 핵 공격 쿨 타임은 1 프레임 ( = 0.042 초 ),

    야마토는 15 프레임 ( = 0.63초 ) 이라 입력 되어 있으나,

    실제 게임 상에서는 저렇게 짧은 시간 안에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


    핵 공격은 핵이 상공에서 떨어질 때 (빨간 조준점이 사라질 때) 로 부터의 쿨 인것 같으나,

    야마토는 이리저리 실험해봐도 15 프레임을 못 끼워 맞추겠음.


    ( 핵 공격 지시 이후 바로 취소하고, 바로 다른 핵 공격 지시를 내릴 수 있음.

      야마토는 쏘는 중간에 취소시키는 방법을 모르겠어서 모르겠음 )



     

    [ 스팀 팩 ]


    스팀 팩 마린과 파이어뱃 - 데이터 없음

    몇몇 정보 사이트 설명에 의하면, 스팀 팩이 발사 빈도를 2 배로 만들어 준다고 적혀 있어서

    스팀 팩 쿨 타임을 그냥 절반으로 기재해 놓은 곳들이 있는데,


    직접 비교 실험해본 결과

    쿨 다운이 절반이 되거나, DPS 가 2 배가 되진 않음.


    스팀 마린의 쿨 타임

    노 스팀 마린 쿨 타임 기준 ' 60% '  ( 대략 58.8% ~ 62.5% 범위 )


    스팀 파이어뱃의 쿨 타임

    노 스팀 파뱃 쿨 타임 기준 ' 53.3% '  ( 대략 52% ~ 57% 범위 )


    마린, (특히) 파이어뱃이,

    인 게임상 쿨 타임이 일정치 못해서 완전 정확하다고 확언은 못하겠지만,

    그래도 여러 경우를 두고 반복 실험해서 최소한의 신뢰 할 만한 값은 구했다고 생각은 든다.




    [ 그 외 ]



    '힐' 은 토스 쉴드 / 저그 HP / 에너지 (마력) / 리페어 등 과 같이 다뤄야 되는 내용.


     

     

    캐리어

     

    캐리어랑 리버는 유닛 특수성 때문인지, 유닛 데이터 파일에 쿨 타임이 안 적혀 있음.

    다만 리버는 옛날 클래식 배틀넷 웹사이트에 적혀있어서 그걸 토대로 적었고,

    캐리어도 분명 인터셉터 한 마리씩 순차적으로 꺼내는 쿨 타임이 존재하긴 할 거임.




     

     

    부록

     


    [ 첫 공격과 연속 공격 ]


    처음으로 사거리 안의 타겟을 공격할 때 소요되는 프레임과,

    첫 공격 이후, 연속적으로 공격할 때 소요되는 프레임 수가 차이 나는 유닛들이 있음.

    드라군과 포톤 캐논 등의 유닛이 이에 해당되며, 일반적으로 첫 공격 소요 프레임이 더 큼.

    온전한 데이터가 없어서 이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을 예정.




    [ 쿨 다운의 무작위성 ]


    쿨 다운은 매번 바뀜.  데이터상 쿨 다운 기준으로

    최대 1 프레임이 짧아질 수도,  최대 2 프레임이 길어질 수도 있음.

    1:1  동시타로 시작해서 싸울 때

    러브샷이 거의 안 나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


     

     

    < 11월 21일 내용 추가 >


    이 항목은 원래 확인이나 증명이 힘든 내용이라 생각했고,

    그렇다고 아예 안 적어 놓긴 뭐해서 기록상, 참고상 적은 항목이었는데


    뒷 시리즈를 작성하다보니 생각보다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게되어 글을 추가 작성함.


    쿨 다운이 - 1  ~  + 2 프레임이 된다는것은

    평균적으로  + 0.5 프레임이 된 다는것과 같은 의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쿨 다운’ 은 데이터상 쿨 다운 값에  + 0.5 프레임 ( =  + 0.021 초 ) 을 해줘야함.


    표에 있는 초로 환산한 쿨 다운 값은

    따로 반올림한 수치가 아니기 때문에,

    그냥 원 데이터 수치에 0.021 초를 더해준다고 생각하면 됨.


    ex) 히드라의 실제 쿨 다운 : 0.63 + 0.021 = 0.651 초



    차후 많이 접하게 될 계산식에, 손쉬운 대입과 활용을 위해서

    0.021 초를 더한 값으로 표를 새로 만들까 생각도 했는데,


    마법이나 능력의 경우 똑같이 적용이 되는건지 안 되는건지 정확히 확인 못 했고,

    예외 없이 모든 유닛이 일률적으로 적용이 되는건지도 확인 안 돼서,

    일단은 이렇게 놔두고, 차후에 올릴 필요성을 느끼면 추가적으로 표를 올리도록 함.

     

     

     

    [ 드랍 유닛 쿨 다운 ]


    셔틀, 드랍쉽, 오버로드 같은 수송선 으로부터 공격 유닛이 내렸을 때,

    특수한 쿨 다운이 적용되는 유닛들이 있음.


    - 골리앗 / 탱크 : 15 프레임 ( = 0.63초)

    - 리버 : 30 프레임 ( = 1.26초)

    - 각종 마법 유닛 : 30 프레임 ( = 1.26초)

     

      ( 할루시, 피드백, 클로킹, 핵 발사는 해당 안되는것 같음.  의외로 컨슘은 또 해당 됨. )

      ( 실제로 템플러는 느린 게임 속도에서 신속하게

        스톰 쏘고 - 태웠다 내리고 - 다시 쏘면, 그냥 연속 2 번 쓰는것보다 빠름. )



    믿을 만한 곳에서 퍼 온 내용이긴 한 데,

    골리앗 / 탱크는 개인적으로 저 수치가 맞는건지 잘 모르겠음


    수송선에 태우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프레임,

    수송선에서 내리라는 명령을 받고,

    실제로 땅바닥에 유닛이 다시 내려지기 까지 소요되는 프레임도 있기 때문에

    단순 위의 주어진 수치만으로 비교 우위를 정할 순 없음.


    다만 45 프레임의 쿨 다운이 요구되는 스톰의 경우만 놓고 실험을 해보면,

    위의 데이터를 통해 태우고 내리는 모든 과정에서 소요되는 프레임이

    15 프레임 보단 낮음을 알 수 있음.


    내 실험 결과로,

    태우고 내리는 일련의 과정에 필요한 최소 프레임 수는 6 프레임 ( = 0.252 초 )


    근데 일반 게임 속도에서는 너무 짧은 시간이라

    쿨 감소 차원에서 태웠다 내리는건 리버 말고는 효용성이 없음



     

    [ SCV , 울트라리스크 어택 광클 ]


    SCV 는 차이 없음.  이라고 적으려다가..

    뭔가 꺼림칙해서 진짜 마지막으로 실험해봤는데,

    짧게 결론 먼저 말하면 차이가 있긴 있음..


    아마 직접 실험 해본 애들 한테 태클이 많이 들어올 것 같은데,

    나도 수 많은 실험에서 결국 똑같다는 결과가 나왔어서 그렇게 믿고 있었는데,

    지금은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정도로 결론 냈음.


    실험 과정이나, 결과를 다 적으면 너무 글이 더러워져서,

    그냥 결론만 적으면 1.007 배 ~ 1.018 배 정도 더 때릴 수 있다.  끝.

    ( 143 대 때릴때 144 대 정도 꼴로 때리거나,

    운 좋으면 55 대 때릴 때 56 대 때리는 정도. )

    동시타 싸움에서 막타를 먼저 때릴 가능성도 쪼오금은 올라가는 듯.


    위의 [ 쿨 다운의 무작위성 ] 항목 과 관련.

    광클시 연속적인 공격이 아니라 항상 첫 공격으로 인식해서,

    항상 디폴트 쿨 타임으로 적용되어,

    평균 값에서 유리한 계산 싸움이 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금은 생각해 봄.


    그리고 믿거나 말거나 개소리 같이 느껴지겠지만,

    그냥 막무가내 빠른 광클이 아니라,

    정확한 타이밍에, 정확하고 제한된 클릭 수로 미세하게 쿨 타임 감소를 할 수 있는것 같음.

    특정 타이밍에 평타 캔슬하고 후딜 타이밍에 새로 공격 명령 넣는 느낌?

    오히려 단순 광클은 아무 차이를 만들지 못하거나 미세하게 느려질 때도 있었음.



    울트라는 광클 시,

    내 실험 기준 쿨 타임을 약 9.1% ~ 16.7% 단축 할 수 있음.



     

    [ 디바우러 애시드 스포어 / 퀸 인스네어 ]


     

    애시드 스포어


    디버프 효과가 하나씩  누적 될 때 마다,

    타겟 원래 쿨 다운 값의 1/8 이 증가된다고 설명되어 있고,

    쿨 다운 디버프 누적 효과는 최대 7 스택이라 설명 되어 있는곳이 있는데,


    대충 끄적 실험 해 본 결과 둘 다 틀린 듯.

    1/8 보다 적은 값이 증가되고,

    9 스택까지 디버프 누적 증가가 유효해 보임.


    정확한 값은 도저히 실험해 볼 용기가 안 남.


     


    인스네어


    이건 다른 곳에 실험 정리된 내용을 그대로 번역해서 붙여 넣음.

    ( 주의.  '공격 속도'와 '쿨 다운' 의 퍼센티지 계산은 구분해서 봐야함

      아래 인스네어 실험 결과들은 다 '공격 속도'에 관한 수치임 )


    대부분 유닛의 '공격 속도' 를 약 18 % 정도 감속 시킴.

    ( 같은 시간에 18% 적은 데미지를 가하게 만든다는 의미 )


    골리앗 / 탱크 / 메딕 힐 - 공속이나 힐 속도에 영향 없음

    울트라 - 1 % 미만의 영향


    마린 - 16%

    커세어 - 10%

    아날링 - 33%

    스팀 마린 - 42%

    스팀 파이어뱃 - 48% 의 공격속도를 각각 감속시킴


    캐리어와 러커 - 영향을 받긴 하나, 퍼센티지를 모르겠다 카더라





    01 유닛 이동 속도 편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14843


    02 유닛 가속도 편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14870


    03 쿨 다운 편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23965


    04 DPS 편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24038


    05 시야와 사거리 편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45524


    06 유닛과 건물의 크기 편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52825

     

    07 빌드 타임 편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61293

    신고
    • 댓글이 11 개 달렸습니다.
    • 7년 전
      04 DPS 편도 많이 봐주세요~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24038
    • 대체 당신은 누구십니까.. 베스트 댓글
    • 7년 전
      이거 추가할 내용 알려주자면
      영웅들중에 기본유닛보다 공속 빠른애들잇음
    • 7년 전
      @덱스트영웅 유닛들까지 다룰까 하다가 표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는것 같아서,
      일반 밀리 게임 기준으로, 마주할 수 있는 상황들만 고려했음.

      만약 영웅 유닛을 다루게 된다면,
      시리즈 별로 다 적고 나서
      영웅 유닛만 모아서 글 하나를 따로 써보거나 할 듯.  참고는 할게
    • 6년 전
      @apsodi영웅 유닛까지하면 활용성 대비 니 노력이 좀 빛을 바래는거 같애! 밀리 유닛만 해도 항상 외우고 실전에서 쓰려고 노력해 고맙당. 필승팁은 아니지만 언젠간 이런게 쌓여서 기본기가 탄탄해지겠지. 초보탈출 팁 항산 잘보고 있다.고생해서 고마워!
    • 6년 전
      @892진심으로 힘이된다.  응원글 고맙다.
    • ㅇㄷ
    • 이 자료도 좋은건데 반응이 뜨뜨미지근한걸로 보면 해석을 못하는것 같네여 일례로 탱크 딜래이보면 탱크 중심에서 통통포탱크에서 공격시간이 이렇게 나타남
       
      상 2710ms / 2.71초             
      좌 2770ms / 2.77초            
      우 2780ms /2.87초
      하 2920ms / 2.92초             

      그럼 가장 큰차이나는 상과 하 대비시켜보면 시간이 0.21 차이가나는걸 알 수 있는데,

      여기서 0.21이 의미하는건 사정거리의 변화임

      가령 앞선 유닛속도 글 (https://www.ygosu.com/community/st1/114843)에서 보면 드라군 속도가 5라고 가정한다면 1초 = 120 픽셀이동  120*0.21 = 25.2 픽셀 
      즉 아래에서 위로 덤벼들면 25.2픽셀 더 빨리 탱크에 접근한단 뜻임 다르게 해석하면 25.2픽셀만큼 사거리가 길어진다고 할수도 있겠지, 
    • 그리고 여기서 파생시킬수있는 전투법이 여러게 있는데 하나 소개해보면 이런거임
      1. 셔틀에 유닛 내렷다 태우면 탱크 포격을 피할 수 있음 근데 상하좌우 최초발사속도가 달라서 탱크의 포신 위치에 따라 태우는 속도가 달라질 수 밖에없음
      2. 이제 셔틀 A에 유닛 하나 태우고 B셔틀이 A셔틀을 따라감
      3. A셔틀이 유닛 내리자마자 B셔틀로 내린 유닛 태움 그럼 탱크 포격을 아주 쉽게 피할수있음
      4. 이떄 가정할건 AB셔틀 간의 거리인데, 0.052초당 셔틀간거리를 0.1칸씩벌리면 됨
    • 7년 전
      @바행초고수임갑자기 사거리 변화, 사거리가 길어진다고 적어놔서 세 번 읽고 이해함 ㅎ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네 진짜.

      위의 상하좌우 시간 잰 기준은
      탱크 포신 방향이 시즈모드하고 기본 방향일 때 기준으로 잰거지?
      정확히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했을때, 맞을 때까지 2.x 초를 잰거?

      그리고 반응 미지근 하다기 보다는,
      어제 유난히 종족사기 글들 많았어서 바로 묻힌것도 있고,
      가속도 글도 일주일 전 글인데 이제 올라가는거 보면
      사람들이 보려면 시간이 좀 필요한듯.
    • 6년 전
      몇몇 항목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링크의 excelente 님의 글을 참고.

      https://www.ygosu.com/community/?bid=st1&idx=275003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공지사항 스타 전략전술 게시판 활동규정안유진 24.12.18-
    공지사항 회원님들께 드리는 게시판 관리자 선출 관련 공지 (45) YGOSU 24.12.17-
    공지사항 📢 게시판 구독 관리 시스템 업그레이드 완료! 🎉 (13) YGOSU 25.04.01-
    속셔 때문에 게임이 현역때보다 빠르다는 십소리 하는데웹아카이브머신2401:03-
    배불러 이 사람은 맞는 얘기하면 일부러 부정하네 (7)웹아카이브머신2100:48-
    토스는 하자있는 종족이 맞다 (22)웹아카이브머신4200:00-
    3종족 중 테란이 젤 좋은 이유 (5)웹아카이브머신2825.04.04-
    예전에 스타크래프트 한창 인기 잇을 때 이상한 풍조. TXT갈리우스3125.04.04-
    철권8의 사례처럼 밸런스가 무너진 게임은 폭싹 망한다 (11)불꽃테란@14925.04.04-
    저그가 장애인한테도 지기딱좋은종족아니냐 (7)날카로운분석9825.04.04-
    스타크래프트 유닛 줄여부르기. Mp4 갈리우스14225.04.04-
    게임할때 모니터 뭐쓰냐? (3)토막저그11725.04.04-
    netclan 가입홍보 한끼쥽쇼12025.04.04-
    Op Navy- 가입 문의 받아요 fOrceClan22125.04.04-
    Op namuclan 나무 클랜에서 신규 클랜원을 모집합니다! 배밥20025.04.04-
    나 레더 2300찍음ㅋ (3)딸기맛칸쵸26425.04.04-
    ACE 클랜에서 신입부원을 모집합니다  jrjhhe44225.04.03-
    앞마당 캐논러쉬 아니면 캐논러쉬는 사실상 돈낭비라 생각한다 (4)아시아대마왕107025.04.03-
    Dt35구형 키보드 화이트 새거잇는애없냐날카로운분석34725.04.03-
    도멘 옛날 1차2차 강의파일 있으신분 (2)빗속에서66325.04.03-
    큐센 DT-35 기계식 키보드 있네 스타 쟁이들 추천 (6) 썬더152125.04.03-
    간만에 asl 봤는데 (16)광요922725.04.02추천 6
    김택용 저그전해설 존나 잘하네 진짜 (2)아시아대마왕92625.04.02-
    윤수철 캐논러시 성공하고 진거임?토막저그78825.04.02-
    beastclan에서 신입 클랜원을 모집합니다!! (11)스타타타타타타397425.04.02추천 1
    Navy 클랜 가입 신청 받습니다 fOrceClan118025.04.02-
     중장전 봣는데 돈얼마주냐 김민철 김치보이 겜봣는데 김민철 경기력 절망인데? 4:1로지네 (1)아시아대마왕477525.04.02추천 2
    요즘 선갯은 어케 대처하냐 그냥 나는 하던대로 이기긴하는데 존나 짜증나네 이거? (7)아시아대마왕139225.04.01-
    글쓰기
    [구 전략전술 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