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이 힘을 잃게된 결정적인 이유가 시험난이도 강화지. 학교에서 배웠는데 시험에는 학교에서 배운 것 이상이 나오고 수능 역시도 마찬가지고... 그러다보니 그런 부족분은 학원에서 채우고 자연스럽게 학교내에서의 교육방침이 힘을 잃게 된듯. 결과적으로 시험난이도를 학교 교육내로 조절하는 방안이 필요하고, 또한 학교내에서 학생활동의 다양성 방안을 마련해서 그런걸 대입과정에 적용시키는 등 좀더 포괄적이고 다양한 방향성이 제시되어야할듯. 외국은 안나가봐서 모르지만 우리나라 내에서 이렇게 시끄러운 것보면 선진국의 교육 특성은 이런게 없다는 얘긴데 적어도 내가 알기론 학교 내에서 학생들이 할 수 있는 활동범위를 넓게 잡아주고 그걸 대입과정 및 학생 평가에 적극 반영하면 학원을 비롯한 사교육의 필요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물론 이것도 완벽한 수단은 아니지만 사교육을 잡는 등 선행학습 금지 시켜봐야 더 암적인 존재만되고 음지로 들어갈 뿐, 그 결과로 인해 공교육 강화는 없을듯. 최대한 현 상황 유지겠지. 고로 적극적인 공교육 강화방침이 있어야지 해결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