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sisaon.co.kr/articleView.html?idxno=15368
대학을 못 나온 사람들, 사무실이 아닌 작은 공간에서 일하는 자영업자들, 흙과 바다 등 자연과 직접 접하며 일하는 사람들, 직업이 없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에 대해 더 많은 기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와 '리서치앤리서치'가 지난 11일 실시한 여론조사(신뢰수준 95%, 오차범위 3.1%P)에서 박 후보는 45.3%를 얻어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41.4%)를 3.9%포인트 차로 앞섰다. 특히, 이 조사에서 두 후보는 소득별, 학력별, 직업별 지지율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직업별 지지율
*농림 임업 어민: 朴 55.2-文 37.1%
*자영업: 朴 50.2-文 37.1%
*화이트칼라: 朴 32.7-文 53.5%
*블루칼라: 朴 43.1-文 48.1%
*가정주부: 朴 55.6-文 32.3%
*학생: 朴 27.9%-文 57.7%
*무직: 朴 60.4-文 19.3%
월(月) 소득별 지지율
*200만 원 이하: 朴 56.1-文 27.6%
*201만~300만 원: 朴 40.1%-文 47.6%
*301만~400만 원: 朴 43.5-文 47.3%
*401~500만 원: 朴 39.4-文 50.6%
*501만 원 이상: 朴 40.8-文 46.4%
학력별 지지율
*중졸 이하: 朴 63.9-文 23.5%
*고졸 이하: 朴 52.8-文 33.1%
*대재(大在) 이상: 朴 37.4-文 49.6%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330
교육수준별 정치성향 분석
학력수준 높을수록 진보적 성향이 짙어져
보수적 정치성향과 진보적 정치성향을 교육수준에 따라 조사한 결과 고학력일수록 진보적 성향이 짙은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대졸이상의 경우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경우가 26.7%에 그친 반면,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40.5%로 다른 학력 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도적이다’고 답한 경우는 24.2%였으며, ‘잘 모른다’는 8.7%로 나타났다.
전문대졸자의 경우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경우가 38.7%로 나타났으며, ‘진보적이다’는 35.9%를 차지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고졸의 경우 37.1%가 ‘보수적이다’고 답했으며, 21.8%는 ‘진보적이다’고 응답했다. 또 ‘중도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29.3%를 차지했다.
중졸이하의 경우 58.7%가 ‘보수적이다’고 답해 다른 학력 군에 비해 보수적 정치성향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12.1%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업군에 따른 정치성향 분석
농·임·어업자 ‘보수’ 53.8% 압도적... 화이트칼라 ‘진보’ 45.2% 우세
직업별 정치성향을 분석한 결과 농·임·어업에 종사하는 직업군에서 53.8%가 ‘보수적이다’고 응답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 정치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으며, ‘진보적이다’는 8.2%에 불과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화이트칼라(사무직종사자)의 경우 25.3%가 ‘보수적이다’고 응답했으며,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45.2%를 차지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진보적 정치성향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블루칼라(노동자계층)에서는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이가 37.8%로 나타났으며, ‘진보적이다’고 답한 경우는 38.5%로 나타나 두 층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중도적이다’는 20.5%를 차지했다.
자영업자에 종사하는 층에서는 41.6%가 ‘보수적이다’고 응답했으며,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29.5%로 나타났다. ‘중도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27.4%로 집계됐다.
주부의 경우 자신의 정치성향이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43.3%로 보수적 정치성향이 짙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진보적이다’는 18.9%를 차지했다. 또, ‘중도적이다’는 답변은 29.5%를 나타내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학생은 22.8%만이 ‘보수적이다’고 답했으며, 33.9%가 ‘진보적이다’고 응답했다.
무직자에서도 보수적 성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신의 정치성향이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46.9%를 차지해 ‘진보적이다’고 답한 19.4%로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중도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22.8%를 차지했다.
종교별 정치성향 분석
불-보수40.5%·진보26.5%, 기-보수37.0%·진보26.4%, 가-보수45.4%·진보18.2%
종교별로 살펴본 결과 불교신자에서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사람은 40.5%를 차지했으며,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26.5%를 나타냈다. 기독교 신자는 37.0%가 ‘보수적이다’고 답했으며,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26.4%로 조사됐다.
가톨릭 신자는 타 종교 신자보다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아 45.4%를 차지했으며, 반면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18.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무교는 34.5%가 ‘보수적이다’고 답했으며, 31.8%가 ‘진보적이다’고 응답했다.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이들 가운데 ‘자신의 정치성향이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60.0%를 차지했으며, ‘진보적이다’고 답한 경우는 14.9%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친박연대 지지자 경우 48.6%가 자신의 정치성향을 ‘보수적이다’고 답했으며, 33.1%가 ‘진보적이다’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민주당 지지자의 경우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27.8%에 그친 반면, ‘진보적이다’고 답한 경우는 48.0%로 조사돼 보수적 정치성향보다는 진보적 정치성향이 더욱 짙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진당을 지지하면서 보수적 정치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34.3%를 차지했으며, ‘진보적이다’고 응답한 경우는 65.7%를 차지해 민주노동당을 제외한 타 정당 지지자보다 진보적 정치성향이 월등이 높게 나온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노동당 지지자의 경우 단 7.9%만이 자신의 정치성향을 ‘보수적이다’고 답했으며, 73.2%가 ‘진보적이다’고 응답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 진보신당 지지자의 경우 33.9%가 자신의 정치성향을 보수적이라고 답했으며, 35.0%는 진보적이라고 답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저작권자 © 폴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