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북 사용않는 ‘1번’, 살상무기에 표시 납득 안가 : 정치/이슈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1
게임 0
유물

북 사용않는 ‘1번’, 살상무기에 표시 납득 안가 [2]

탈퇴한 회원입니다
2010-05-22 18:55:30 (15년 전) / READ : 2678
    북 사용않는 ‘1번’, 살상무기에 표시 납득 안가
     
    꼬리 무는 ‘합리적 의문’

    민·군 합동조사단이 북한 잠수정의 어뢰 공격을 천안함 침몰 원인으로 결론냈지만 여러 정황과 증거물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이 같은 의혹 제기에 대해 군 당국이 추가로 설명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국방부가 천안함이 좌초한 게 아니라는 증거로 지난 20일 공개한 온전한 모습의 소나 돔 사진(왼쪽). 그러나 로이터통신이 찍은 사진에는 측면에 깊게 팬 자국이 남아 있다. 국방부 제공·로이터뉴시스
    합조단 발표 가운데 의심이 집중되는 것은 지난 15일 쌍끌이 어선이 인양한 어뢰의 추진후부 안쪽에서 발견된 글자 ‘1번’이다. 합조단은 7년 전 수거한 북한의 훈련용 어뢰에 ‘4호’라는 표기가 있었다는 점을 근거로 ‘1번’이 적힌 이번 어뢰도 북한의 군사무기라고 결론내렸다.

    그러나 일부 북한 전문가들은 합조단과 다른 해석을 내 놓고 있다. 북한에서는 물건에 순번을 부여할 때는 번(番) 대신 호(號)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특히 군사용 무기에서 ‘번’을 사용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21일 “북한에서 나온 서적을 보면 물건에는 호를 붙인다”면서 “사람에게는 번을 쓸 수 있지만 물건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양 교수는 “합조단은 ‘번’이 적힌 다른 무기의 사례를 제시한 뒤 결정적 증거라고 주장해야 하는데 그런 절차가 빠져 있다”면서 “살상용 무기는 훈련용과 차원이 달라 표식을 감추는 것이 기본인데 ‘번’이라는 생소한 표현으로 범행 흔적이 남아 있는 것에 대한 합조단의 설명이 빠져 있어 의문이 생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탈북자들의 전언은 약간 다르다. 탈북자 박모씨(48)는 “일련번호는 기계로 찍지만 군수공장에서 무기를 식별하기 위해 페인트로 ‘몇 번’ 이렇게 표기를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1번’이라는 글씨가 바닷속 수심 47m에서 50여일간 있었는데 지워지지 않았다는 것도 의문스럽다. 합조단은 이 글씨가 유성잉크로 작성됐다고 추정했다. 게다가 ‘1번’ 표식 주변의 표면 부식정도가 큰 차이로 양호한 상태를 보이는 점도 의심스러운 부분이다. 조선설비업에 40년간 근무한 김모씨(67)는 “프로펠러는 부식을 막기 위해 비철합금을 사용하지만 동체의 다른 부분은 재질의 종류에 따라 부식 정도가 다르다”면서 “유독 글자가 쓰여진 부분만 부식이 덜 돼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고 말했다.

    김씨는 이어 “통상 프로펠러를 설치하기 전에 그 제품을 완벽하게 닦아내는 퓨어리싱 작업을 거치는데 글씨가 남아 있다는 것이 잘 이해가 안된다”고 덧붙였다.

    민·군합동조사단이 지난 20일 국방부에서 공개한 어뢰의 잔해에 ‘1번’이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쓰여있다. | 강윤중 기자 yaja@kyunghyang.com
    국방부가 오락가락 행태를 보여 왔던 열상관측장비(TOD)의 존재를 은폐했다는 의혹도 이어지고 있다. 국방부는 침몰 사고 당시 물기둥 등이 찍힌 TOD 동영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분명한 입장을 취했다.

    하지만 이정희 민주노동당 의원은 “복수의 제보에 따르면 함수와 함미가 분리되는 장면을 본 합참관계자가 있다. 여러 방법으로 확인이 됐다. 이것을 본 합참 관계자의 소속과 계급, 실명까지 다 파악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고당시 물기둥 관측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7일 천안함의 우현 견시병은 인터뷰에서 “꽝 소리와 진동은 있었지만 물기둥 같은 특별한 점은 없었다”고 했지만, 합조단의 최종 발표에서는 “폭발 당시 2~3초간 높이 약 100m의 백색 섬광 기둥을 관측했다”(백령도 해안초병 진술)로 변경됐다. 좌현 견시병은 “얼굴에 물이 튀었다”고 뒤늦게 소개됐으나 100m의 물기둥이 솟구쳐 튄 정도라는 데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명백한 사실은 북한이 발사한 어뢰에 ‘1번’이라고 써 있다는 것”이라며 ‘천안함 사고발생 순간의 TOD 영상은 분명히 없다. TOD와 관련해 허위사실이나 유언비어를 만들어 내는 분들의 행동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배 밑에 위치한 소나 돔(음향탐지기 덮개)이 일부 파손된 것도 의문이다. 국방부는 “소나 돔의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볼 때 암초에 의한 좌초 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로이터통신이 찍은 사진을 보면 소나 돔의 측면에 크게 팬 자국이 나타나 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신고
    • 댓글이 2 개 달렸습니다.
    • 15년 전
      아무래도.. 저 1번이라는 글씨가 물속에 있었는데 안지워졌다는게 좀 그렇긴 함. 
      의문점이나 의혹같은거 정부와 국방부에서 생기지 않게 모든 사실들을 밝혔으면 좋겠음.. 
    • 15년 전
      호를 쓰는게 더말이안됩니다.
      이번에 발견된건 어뢰추진체지. 어뢰가 아닙니다.
      님 조립품하나 사서 보십시요. (뭐 전투기 떙떙호라 쳐봅시다.)
      한 조립부속품에 호가 써있습니까 번이 써있씁니까?
      호는 완제품에 쓰는거지 저런 부속품에 쓰는말이아닙니다.

      그리고 쇠부분에 쓰여져있지도않은 저 매직팬이 왜 녹슬어서 사라져야한다는지 저는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_-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공지사항 🎉 미네랄 와토 베타 테스트 게시판 오픈 안내 (16) YGOSU 25.06.18-
    투표 나이제한 올려야됩니다 (6)ares루샨379710.06.02-
    이어서 씀 (2)시대정신250110.06.02-
    오늘 새벽에 올린것 중에 빠진거랑 댓글달린거 다시 반박 (4) 시대정신238010.06.02-
    지금 서울시장 표차가 0.2% 맞나요?노진구엄마266110.06.02-
    아 올린거 다 짤렸어 ㅡㅡ (4)시대정신264710.06.02-
    역시 다시 반박 해줘야겠지? 시대정신410810.06.02-
    능률 주의의 편협된 관점을 버립시다 (4)떡명박258310.05.31-
    대체 누굴뽑으란거야 (1)미라큘러스255610.05.30-
    귀찮더라도 투표는 꼭하자 (3)쿠하악308910.05.30-
    평일에 안들어왔더니 이제 디스좀 걸리는고만 (10)시대정신295710.05.29-
    서울사는 분들 오세훈vs한명숙 누구를 지지하세요? (3)본좌얌381510.05.29-
    여기서 음모론 좀 제발 그만 올려라. (2)정벅ㅋ자297310.05.28-
    대북정책과 선거철이 무슨관계?? (4)미라큘러스255810.05.25-
    왜 이제 반박 댓글 안달리냐? (3)시대정신283910.05.23-
    911테러가조작?? (3)미라큘러스330210.05.23-
    북 사용않는 ‘1번’, 살상무기에 표시 납득 안가 (2) 시대정신267810.05.22-
    한국정부 발표 사실이면 北 잠수정 능력 ‘세계최고’ 시대정신300210.05.22-
    KAL의 눈물 7 (2) 시대정신308310.05.22-
    KAl의 눈물 6 시대정신289110.05.22-
    KAL의 눈물5 시대정신301410.05.22-
    KAl의눈물 4 시대정신272310.05.22-
    kAl의 눈물 3 시대정신262910.05.22-
    kAl의 눈물 2 (1) 시대정신283410.05.22-
    KAL의눈물(제가 올린 천안함 글에 KAL기 관련 링크) 시대정신283110.05.22-
    천안함 관련 의혹풀기 (3)김옥빈1321710.05.21-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