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국 조참이 야전(野戰)의 공로가 많음은 회음후(淮陰侯) 한신(韓信)과 같다. 그런데 한신이 멸망한 후에 열후에 봉해진 공신 중에서 유독 조참만이 그 이름을 빛냈다. 조참이 한나라의 상국이 되자 시행했던 그의 정치 사상 청정무위(淸淨無爲)는 도가의 원칙과 가장 부합된다고 하겠다. 더욱이 백성들이 진나라의 잔혹한 통치를 받은 후, 조참이 그들에게 무위이치(無爲而治)로 휴식하게 하자, 천하 사람들이 모두 조참의 공덕을 칭송하였다.사기(史記) 조상국 세가(曹相國世家)..
무릇 노자가 말하길
욕 먹는 군주는 삼류고
칭찬 듣는 군주는 이류이며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는 군주가 일류라 하엿습니다
무위지치의 론으로
저 위에서도 조참만이 칭송을 받으며 그 공덕이 빛낫다 하는데
저 또한 와고의 상국 조참처럼
청정무위와 무위이치로 많은 분들이 재밋게 노실 수 잇는 와고가 되게 하겟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