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창기 모델>
1971년 -인텔 4004 cpu (인텔 최초의 CPU)
1972년 -인텔 8008 cpu
1974년 -인텔 8080 cpu
1979년 -인텔 8086 cpu
1979년 -인텔 8088 cpu
<x86 시리즈>
1982년 -인텔 286 cpu
1985년 -인텔 386 cpu
1989년 -인텔 486 cpu
<펜티엄 (Pentium) 시리즈>
1993년 -인텔 펜티엄(Pentium) cpu
1995년 -인텔 펜티엄(Pentium) 프로 cpu
* 이 때 쯤 "MMX" 라고 불리웠던 cpu도 있었음 (펜티엄보다 빠르다고 했지만 거의 체감을 할 수 없었던 아픈 기억;)
1997년 -인텔 펜티엄2(Pentium ii) cpu
1999년 -인텔 펜티엄3(Pentium iii) cpu
2000년 -인텔 펜티엄4(Pentium 4) cpu (한국에서 사용자가 제일 많은 cpu)
2005년 -인텔 펜티엄D(Pentium D) cpu
<콘로(Conroe)계열 데스크탑용 코어2 시리즈의 코드명(65nm공정)>
코어2 듀오 콘로(Core2 Duo Conroe) - 2006년
코어2 듀오 앨런데일(Core2 Duo Allendale) - 2007년
코어2 쿼드 켄츠필드(Core2 Quad Kentsfield) - 2007년
펜티엄 콘로(Pentium Conroe) - 2007년
셀러론 콘로(Celeron Conroe) - 2007년
셀러론 앨런데일(Celeron Allendale) - 2008년
<펜린(Penryn)계열 데스크탑용 코어2 시리즈의 코드명(45nm공정)>
코어2 듀오 울프데일(Core2 Duo Wolfdale) - 2008년
코어2 쿼드 요크필드(Core2 Quad Yorkfield) - 2008년
펜티엄 울프데일(Pentium Wolfdale) - 2008년
셀러론 울프데일(Celeron Wolfdale) - 2009년
<네할렘(Nehalem)계열 데스크탑용 코어 i 시리즈의 코드명 (45nm공정)>
코어 i7 블룸필드(Core i7 Bloomfield) - 2008년
코어 i7 린필드(Core i7 Lynnfield) - 2009년
코어 i5 린필드(Core i5 Lynnfield) - 2009년
<웨스트미어(Westmere)계열 데스크탑용 코어 i 시리즈의 코드명 (32nm공정)>
코어 i5 클락데일(Core i5 Clarkdale) - 2010년
코어 i3 클락데일(Core i3 Clarkdale) - 2010년
펜티엄 클락데일(Pentium Clarkdale) - 2010년
셀러론 클락데일(Celeron Clarkdale) - 2010년
코어 i7 걸프타운(Core i7 Gulftown) - 2010년
<샌디브릿지 (Sandy Bridge) 계열 코어 i 시리즈>
코어 i3 샌디브릿지 (Core i3 Sandy Bridge) - 2011년
코어 i5 샌디브릿지 (Core i3 Sandy Bridge) - 2011년
코어 i7 샌디브릿지 (Core i3 Sandy Bridge) - 2011년
<3세대 아이비브릿지 (22nm공정) ~ 9세대 커피레이크 리프레시 (14nm공정)>
3세대CPU : 아이비브릿지 - 2012년
4세대CPU : 하스웰 - 2013~2014년
5세대CPU : 브로드웰 - 2015년
6세대CPU : 스카이레이크 - 2015년
7세대CPU : 카비레이크 - 2017년
8세대CPU : 커피레이크 - 2018년
9세대CPU : 커피레이크 리프레시(R) - 2019년
* 8세대부터 코어수 증가 - i3 2코어에서 4코어, i5 4코어에서 6코어, i7 4코어에서 8코어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