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수은전지와 리튬전지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 컴퓨터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1
게임 0
유물

실시간인기

수은전지와 리튬전지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47]

Minerals : 878,090 / Level : 소령 소령
2020-01-20 15:27:01 (6년 전) / READ : 10196

     

    시간이 없다면 요약부분만 읽고 패스하는걸 추천함

     

     

     

     

     

     

     

     

     

     

     

     

    수은전지.jpg

    수은전지는 영어로 리튬전지라고 한다.

     

     

     

     

     

    가 아니고 Mercury Battery라고 한다.

     

    대략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은데 Anode는 전자가 흘러 나오는 쪽을 뜻하고, Catode는 반대로 전자가 흘러 들어가는 쪽을 뜻한다.

     

    그래서 그게 일반용어로 플러스야? 마이너스야?

     

    그건 그때그때 다릅니다.

     

    전력을 소모하는 부품의 경우 애노드가 플러스이며, 전력을 공급하는 부품에서는 애노드가 마이너스가 된다.

    즉, 배터리에서는 애노드가 마이너스, 캐소드가 플러스이다.

     

    전자 전공하면서 1학년때 교수앞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거렸다가 '자네는 아직도 고등학생인가?' 하고 쪽을 당한적이 있다.

     

    수은전지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Mecury Batter Cell.jpg

    구조는 그냥 참고사항이며 자세히 알 필요도없다.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수은(Hg)과 아연(Zn)을 극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고딩때 화학II를 선택했으면 표준환원전위 라는 말을 들어봤을것이다.

    아래가 표준환원전위표이다.

     

    표준환원전위.jpg

     

    예를 들어 전지에 음극은 수은(Hg), 양극은 아연(Zn)을 사용한다면 수은의 표준환원전위인 0.8V와 아연의 표준환원전위인 -0.76의 차이만큼의 1.56V의 전압이 발생한다. 

     

     

    수은은 유해물질이지만 수은전지는 작은 부피로 큰 용량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요약: 수은전지는 1.56V의 전압을 낼 수 있다. 작은 부피로 큰 용량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유해물질임에도 불구하고 많이 사용된다.(대표적으로 손목시계)

     

     

     

     

     

     

     

     

    이번에는 리튬전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리튬전지.jpg

    리튬전지는 한글로는 수은전지라고 한다.

     

     

     

     

     

    가 아니고 리튬이 외래어이기 때문에 그대로 리튬전지이다.

     

    위의 수은전지에서 짚고 넘어갔던 표준환원전위 표에서 보면 리튬의 표준환원전위는 -3.05V로 금속중 가장 낮다.

    덕분에 리튬을 극으로 사용면 큰 전압을 만들어낼 수 있다.

     

    Lithium Battery.jpg

     

     

    A는 리튬이온배터리, B는 리튬메탈배터리의 구조인데, 이게 중요한건 아니고 둘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자.


    그 전에 자연방전과 메모리효과에 대해 알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자연방전이란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배터리 내부에서 서서히 일어나는 화학반응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뜻한다.


    예를 들면 리모콘의 경우 실제로 사용하는 전력은 거의 0에 가깝다.

    리모콘의 배터리가 다 닳는 경우는 실사용으로 인해서 전력을 사용한것이 아니라 자연방전 때문에 배터리가 죽은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자연방전률이 낮은 배터리를 사용하는편이 현명하다.

     

    메모리효과란 충전이 가능한 전지의 다음번 충전량이 초기 충전량보다 갈수록 작아지는 현상을 뜻한다.

     

    리튬이온배터리나 리튬메탈배터리 둘 다 큰 전압을 만들어낼 수 있는데, 둘에는 큰 차이가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자연방전율이 높고(1달에 3%정도) 리튬메탈배터리는 자연방전률이 낮다.(5년에 10%정도)

    그러면 리튬이온배터리를 왜 써? 다 리튬메탈배터리만 쓰면 되는거 아님?

     

    리튬이온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하며, 메모리효과가 적다. 

     

    요약:

    1. 리튬배터리는 큰 전압을 만들어낼 수 있다.

    2. 충전이 자주 필요한 경우에는 리튬이온배터리가 가장 적합하다.

    3. 실질적 전력사용은 거의 없으나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리튬메탈배터리가 효과적이다.

     

     

    결론:

    실질적 전력사용이 거의없는 메인보드 바이오스칩에서는 수명이 길고 높은 전압을 낼 수 있는 리튬메탈배터리를 사용한다.

     

     

     

     

     

     

     

     

     

     

     

     

     

    장애인.jpg

    배터리 마빡에 LITHIUM BATTERY라고 각인된 사진을 자기가 직접 올려놓고는 수은전지를 판다고 광고하는 또라이들도 있지만 그렇다고 그게 수은전지인것은 아니다.

    신고
    • 댓글이 47 개 달렸습니다.
    • 문송합니다ㅜㅜ 베스트 댓글
    • @머선일이고스바빨간글자만 읽으면 쉬움
    • 6년 전
      @여따이름써요자 이제

      망간과 알카라인의 차이 대해서 설명을 해주자
    • 6년 전
      @여따이름써요행님.. 본문에 댓글 저렇게 블라인드 처리하니까 저 아닌대 저같네요 ;ㅅ; 베스트 댓글
    • @모모⠀요즘에 사나 아이디만 쓰길래 미처 생각을 못함
    • 6년 전
      @모모⠀모모님 의문의 1패 ㅋㅋ
    • 6년 전
      걍 수은전지라는 단어가 굳어져서 통용되는거아님?
    • 삭제된 댓글입니다.
    • @우선보냄조루
    • 6년 전
      @우선보냄이온들이 자리를 못찾아가서 그런거 아냐?
    • @우선보냄오래되서?
    • @까만장갑
    • 6년 전
      무의식적으로 애노드가 +극, 캐소드가 -극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전력 공급 측면에서는 입장이 바뀌는 건 처음 알았네
    • @Plunder소자만 공부하면 나도 모르게 그렇게 외우게 되더라
    • 나 문관데 수은이 영어로 mercury랑 quicksilver 인것만 알아도 리튬이 수은이란 말은 안할듯
    • 6년 전
      ㅋㅋㅋㅋㅋㅋ모자이크 개웃기네 ㅋㅋㅋ
    • @CheerfuL-특정인물의 발언을 토대로 쓴 글이지만, 모자이크를 통해서 해당인물의 익명성을 완벽하게 보호했으며
      궁극적으로는 잘못된 사실을 바로 알리기 위해서 쓴 글입니다.
    • @여따이름써요말투가 좀 오그라드네 찐냄새가..
    • @되/돼구분좀컨셉이잖아 븅신아
      그것도 구분 못하는 니가 찐 베스트 댓글
    • 문돌이는 그냥 지나갑니다..
    • 리튬메탈배터리도 충전은 된다. 다만 충전과정이라는게 리튬이온이 다시 전자를 먹고 리튬금속이 되는건데 이게 필름형태로 붙는게 아니라 덴드라이트라고 막 나뭇가지마냥 붙는다. 그러다 이 나뭇가지가 계속 자라서 양극에 닿는다면? 터진다
    • @피아제틱리튬메탈베터리뿐만아니라 리튬쓰는빠떼리 고질문제
    • @일베충판독검사기음극을 리튬메탈로 사용시에만 수지상정이 생기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리튬배터리에 고질적인 문제는 발열로 인한 폭발이져 액체전해질 온도 상승으로 전해질이 기화되어 압력상승으로 갤럭시 노트 시리즈 중에 폭발된 사례가 있었슴다
    • @피아제틱그 덴드라이트(수지상정) 라는걸 막기위해 전해질 사이에 seperator(분리막) pp나 pe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양극에 닿지는 않아도 수지상정으로 전자의 흐름이 생기니까 안쓰죠 대부분 지금 개발자들이 힘쓰는건 na ion 배터리나 li 고체 전해질 배터리인 이유도 있구요 
    • @미친빵빵1갤럭시가 터진건 고속충전때문 자세하게 아는건아니지만 모든베터리에는 분리막이 존재하고있음

      님이말씀하신 음극이 충전할때 인지 방전할때인지 잘 모르겟음

      충전할때 음극에 그레파이트달고 양극에 리튬메탈달아도 빠르게 작동하면 터지는현상일어남 삼성갤럭시 터진게 고속충전때문임

      님도 알다시피 고속충전하고 방전이 될때 리튬이온이 다시 뭉쳐질 충분한 시간과 에너지가필요함 [ 안정적인 방향으로 리튬을 형성하기위해서] [픽스로에서 보면 확산계수에 완하시간달려있는데 완화시간이 크면클수록 비평형에서 평형으로 가지만 왼화시간이 작으면 비평형에서 메타스테이블이나 비평형으로감] 에너지는 강하지만 충분한 시간이 없으면 얘가 마치 나뭇가지 [덴드라이트형성] 만들고 이게 쌓이고 쌓여서 분리막뚫고 쇼트일어남

      보통 음극활물질 흑연쓰지않나요?? 늙어서 잘;

    • 6년 전
      @일베충판독검사기양극에 다는건 리튬이 아니라 리튬코발트산화물이고 리튬메탈을 사용하는 2차 상용전지는 없어요
    • 6년 전
      근데 왜 수은전지를 리튬전지라 하는거야?
      난 당연히 다른거라고 생각했는데
      옛날에는 그랬어? 
      수은이랑 리튬은 완전 다르자나? 잘모르겟네 난 ㄷㄷ
    • @d2434123sw다른게 맞다. 같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수준미달인거다
    • @d2434123sw나도 원래부터 리튬전지라 불렀는데 수은전지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줄 몰랐음
    • 6년 전
      ㄹㅇ 능지 두자리수인가 리튬이 한글로 수은이란 놈은ㅋㅋㅋㅋㅋ
    • ㅇㅓ설프게 알아서 헷갈리는게 있는데 옛날 사람들은 배터리의 +극에서 전자가 나와서 -극으로 간다고 알았는데 실제는 그 반대지만 이미 오랜시간 이론이 정립되버려서 걍 그대로 쓴다는데 맞는 말임?
    • @계몽센터ㅇㅇ알고 있는거 대충 맞음

      전자의 존재에 대해서 모른 상태로 +와 -의 개념을 정립해버렸는데 수백년동안 수십만권의 책을 펴내고나서 알고 보니까 실제로는 -에서 +로 전자라는 입자가 이동한다는게 밝혀짐. 그래서 전자자체를 -로 규정함으로써 기존의 +와 -의 개념을 그대로 사용함.

      그런데 그걸 바로 잡으려고 요즘에 미국에서 나온 책에서는 전류(Current)라는 단어 대신에 전자의 흐름(Flux of electr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자가 흐른다고 표시함
    • @계몽센터전자물리의 시조가 뭐부터인지는 모르겠는데.. 옛날에는 전자의 흐름이라는 개념이 없었음. 전류라는 양전하의 흐름이란 개념만 존재했음. 그리고 그걸 토대로 온갖 이론들이 정립되고.. 전류란 실질적으로 전자(음전하)의 흐름이라는것이 발견될 쯤에는 너무 먼길을 가버렸음
    • 6년 전
      응 에너자이저
    • 결론. 문재앙을 처형해야한다.
    • 6년 전
      나 문과인데 수은이 한자로 水银 영어로 water silver인것만 알아도 리튬 드립 안칠텐데 ㅉㅉ
      문과망신 다 시키네
    • 6년 전
      한가지 덧붙이면 저 동전모양 전지가 예전에는 수은전지로 나오다가 안전문제로 생산중단되고 리튬으로 갈아탄건데 동전모양=수은전지라는 인식때문에 예전에 부르던 이름대로 부르는거임
       수은전지는 사실상 완전히 사라졌음
    • 전공자가 조금 내용을 보태자면 학부수준이라 낮아도 이해바랍니다. 1차 전지와 2차 전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충전의 유무 이져 여러분들이 아는 충전되는 건전지는 2차 전지인 리튬을 사용한것 이고요 1차전지가 여러분들이 아는 리모컨애 들어가는 알칼리 전지 나 계산기에 들어가는 코인 건전지 위에 망간 건전지요 , 1차 전지는 사실 화학반응 으로만 전기를 생산? 한다고 볼수있어요 그래서 화학반응이 끝나면 더이상 쓸수없는 건전지가 되는것 이구요 여러분들 어렸을때 건전지를 깨물면 잠시 건전지가 살아난걸 볼수있엇는데요 이는 새로운 반응 계면이 생겨서 화학 반응이 진행된거에요 이 화학반응은 정반응만 가능하지 역반응이 불가합니다 즉 가역성이 없다는거져 근데 2차전지는 화학반응 + 전자의 이동 으로 충방전이 가능해져서 우리가 핸드폰에도 쓰고 전기자동차 배터리에도 쓰는것입니다 나이가 많이 드신 분들은 초기 2차전지 중에 저도 이름이 기억 안납니다만 풀방전 풀충전을 해야 memory effect (이력곡선)이 예방되는 초기 2차 전지 모델도 있고 li ion 배터리 경우는 거의 대부분 li 과 graphite 를 사용하여 li 양이온이 graphite 층 사이로 들어가서 충전이 되는것 입니다 왜 li ion이 memory effect가 작냐 이는 리튬의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기 때문인데요 이론상 Li 에서 50퍼센트 까지 양이온이 빠질때까지가 제한입니다 사실 양극으로는 Li 만 쓰는게 아니라 리튬코발트산 을 사용합니다 다만 무조건 이걸쓰는게 아니라 회사마다 다르긴하겠져  그리고 리튬이온 배터리는 li와 그라파이트 를 짝으로 사용시 포텐셜 전극차가 이론상 3.6v 이상 나오나 저항으로 인해 3.6으로 표기하곤 하져 
      아그리고 리튬이온 배터리는 자주 충전해 주는게 좋습니다
      또한 풀충전이 되면 꼭 전원 
    • 을 꺼주셔야하고 발열은 배터리에 독이됩니다 ㅎㅎ 
      배운지 오래되서 자세하게는 못써드리네요..
    • @미친빵빵1빨간글씨만으로도 힘들어하는 형님들 많이 계시는데 추가적인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 @여따이름써요아는거 나와서 신나게,썻내요... 그래도 읽어주시니 감사합미다
    • 6년 전
      @미친빵빵1Li은 양극이 아니라 음극이고...순수 리튬메탈을 전극으로 쓰는 전지는 없어요.... 90년대에 상용화된 LiCoO2를 지금도 양극으로 써요.. 최근에는 삼성분계 LiCoxNiyMnzO2를 쓰져 
    • @미친빵빵1이렇게 자세하게 알려면 무슨전공을 전공하신건가요?
      뭐하시는분인지 여쭤봐도되나요?
    • 6년 전
      전지
    • 6년 전
      ㅇㄷ
    • 6년 전
      배터리 대학원생인데... 어디가 anode 인지 cathode인지는 전지의 충전과정이랑 방전과정에서 각기 달라여 근데 편의상 방전과정을 기준으로 하는거
    • 그럼 일상생활에서 도어락이나 리모컨 등 충전불가능한 건전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력소모는 제로지만 교체하기 귀찮거나 수시로 충전하기 귀찮아서인가요?

      그리고 어떤전공 또는 어떤일을 하시기에 이렇게 잘아시나요?
    • @무조건성공한다충전지를 사용할 경우 몇가지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음
      '충전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가"
      '충전과 동시에 사용이 불가능하다면 충전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아도 생활에 불편함이 없는가'

      휴대폰의 경우 '충전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에 해당됨
      장난감 RC카의 경우 '충전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아도 생활에 불편함이 없는' 경우에 해당됨

      도어락, 리모콘의 경우
      '충전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사용이 불가능'
      '충전하는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생활에 불편함이 있음'
      두가지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배터리가 다 닳면 즉시 교체가능한 일회용 전지가 더 적합함.

      전공은 학부는 전자전기, 석사는 임베디드
      세부전공이 전지쪽은 아니라서 글 내용은 얕은 학부수준임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 필독 ※ 컴퓨터게시판 규정 안내 (2025.02.16 수정) (5)스톤콜드 24.12.24추천 1
    와이고수 유저들을 위한 11월 표준견적.txt (35)스톤콜드 24.11.02추천 5
    신문고 (2)스톤콜드 24.12.24-
    🎉 미네랄 응모 이벤트, 더욱 강력하게 다시 시작됩니다! 🎉 (12) YGOSU 25.08.02-
    미네랄좀요 모와서 컴퓨터사게 (1)yxl해체좀1920:21추천 1
    [질문] 사무용 컴퓨터 중고? 신품? (6)드라이버평택8025.08.07-
    그냥 컴퓨터는 제일 잘 팔리는걸 사는게 좋다  (1)흑염강림9225.08.06추천 1
    컴퓨터 견적 좀 봐줄수있나요?? (2) 추억은사랑을닮아8825.08.05-
    스톤콜드 관리자에 의해서 블라인드된 게시글입니다.이것은무엇인고6325.08.03-
    [질문] 조립컴터 부품값이 비싸면 조립비도 올라가나요? (4)음란마구니14325.08.02-
    [질문] 키캡 관련,,, 질문 (3) 계란김밥11225.07.31-
    컴퓨터 잘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제발! (8)얼짱이에요23625.07.25추천 1
    [정보] 인체공학 마우스 및 키보드. JPG (1) 갈리우스19525.07.24추천 1
    Rtx 5060ti vs rx9060 16gb 머가나을까요? (11)얼짱이에요22225.07.23-
    [견적] 게이밍으로 쓸만한지.. (3) 박카수엠디24625.07.22추천 1
    [견적] 이륙 허가가능할까요 형님들? (3) CCCz19825.07.21-
    컴퓨터 팔았는데 구매자한테 연락왔따...ㅠ (3)타나타노트24525.07.19-
    [견적] 형님들 견적 이륙해도 되겠습니까 (5) Clarity22425.07.17-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납니다..제발 도와주세요 (6)타나타노트17125.07.16-
    가만히 있는데 온도가 너무 높아요 (8) 타나타노트17525.07.15-
    [견적] 이것도 평가부탁드려요 (6) 현준강민18425.07.14-
    [견적] 이륙할까요? (1) 현준강민20425.07.13-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좀 드려봅니다.. (2) 하하호호히헤후20925.07.13-
    [견적] 컴퓨터 견적좀 짜주세요 와고 고수형들ㅠㅠ (1)춤추는고라파덕20025.07.13-
    a320 보드에 라이젠 5600 rtx2060 쓰는거 어떨까요 (1)타나타노트16925.07.12추천 1
    [질문] FXSOUND 프로그램에서 이 빨간색 표시한 장치를 제거하는 방법 있을까요? 음란마구니13625.07.11-
    [견적] 이거 이륙해도 댐??  (3) MD.범생23925.07.09추천 1
    [견적] 질문드립니다. 견적 (4) 짜냥이28625.07.07-
    [질문] 혹시 FXSOUND라는 프로그램 쓰시는분 계실까요? 질문이 있습니다 (2) 음란마구니14725.07.02-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