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스압,장문][참고] [팁] AMD 레이븐릿지 2200g, 2400g 사용자를 위한 글 : 컴퓨터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0
게임 0
유물

컴퓨터
| 스탭: 스톤콜드

실시간인기

[스압,장문][참고] [팁] AMD 레이븐릿지 2200g, 2400g 사용자를 위한 글 [19]

탈퇴한 회원입니다
2019-05-01 23:03:32 (6년 전) / READ : 6031

     

     

     

    출처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3/read/2162879

    카페 : AMD 비쉐라 라이젠 컴퓨터 사용자 모임

    https://cafe.naver.com/fx8300/174591

     


     

    오류 없이 안정적으로 잘 쓰는 방법,

    잘 활용하는 방법,

    2200G, 2400G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차례]

     

    ㅇ 레이븐릿지 구매 후 기본체크사항과 할 일

     

    ㅇ칩셋 드라이버를 깔았더니 블랙스크린이 생겼어요.

     

    ㅇ해결되지 않는 알 수 없는 이상 증상, 전부 분해 재조립 누드테스트 

     

    ㅇ내장그래픽은 시스템램을 비디오램으로 사용하니까 램 오버 

     

    ㅇ게임성능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 어라 외장그래픽 달면 사치 아닌가요?

     

    ㅇ내가 쓰는 cpu의 성능은 어느정도일까

     

    ㅇ 레이븐릿지의 소비전력과 발열 

     

    ㅇ권장세팅 

     

     

     

     

    Chpater 1. 

    구매 후 기본 체크사항과 할 일


    저는 인텔이든 AMD든 컴을 조립 후에 이런 순서로 사용합니다.

     

    1. 조립 

    2. 윈도우 설치(최신버전 RS4) 

    3. 윈도우 업데이트부터 실행, 최신 패치까지 업데이트

    4.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잡기 (라데온, 엔비디아 공식사이트)

    5. 그냥 씀. 


    레이븐릿지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AMD의 신형 cpu다보니까 구 버전과 궁합이 안맞기도 합니다. (윈도우 옛버전, 초기 바이오스나 드라이버)

    특히 내장 GPU (베가)의 호환성 문제가 크게 이슈가 됐지요.

     

    아무리 구린 거라도 외장그래픽카드 달고 쓸 때는 문제 하나도 없는 cpu가, 

    내장그래픽으로 쓸 때는 case by case로 화면 출력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녹색화면이 떠서 당황스럽고, 검은 화면이 떠서 당황스럽고...

     

    초창기 때 특히 심했고, 이런 저런 업데이트가 되면서 하나 둘 좋아지고, 지금은 다음 세 가지를 해주면  대부분은 이상없이 잘 씁니다. 

    (그래도 이상증상이 생긴 경우는 아래에 더 설명합니다)

     

     

     

     

     

    [기본 3가지 요약]

     

    ㅇ레드스톤4 클린설치 (어디 토렌트, 무슨 버전 그런 거 말고, 걍 순정 iso, 그리고 귀찮더라도 중요자료 백업하고 싹 밀어버리고 전부 새로 설치)

     

    ㅇ메인보드 바이오스는 최신으로 (호환성이 좋아짐, 새 술은 새 부대에)

     

    ㅇ그래픽카드 드라이버도 최신으로 

    (내장그래픽 사용시 스크린 이슈가 업데이트로 점점 해결되고 있음. 하지만 최신 버전 깔았을 때 문제가 생겼다면 그 이전 버전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르기 때문에.) 



     

    [추가 3가지 요약]

     

    ㅇ그래픽 드라이버를 잡은 후 나중에 칩셋을 깔면, 칩셋이 그래픽 드라이버를 건드려서 블랙스크린이 생김. 

    (칩셋을 아예 깔지 말거나, 칩셋부터 깐 뒤에 그래픽드라이버를 다시 깔아주면 괜찮음)

     

    ㅇ조립 상태에 사소한 문제가 생겼을 땐 컴퓨터가 부팅되고 게임이 굴러가더라도 알 수 없는 에러가 계속 생깁니다.

    전부 분해하고 누드 테스트로 재조립, 테스트.

     

    ㅇ오버클럭, 특히 램 오버할 때 전압 부족하거나 cmos 잘못 설정하면 스크린 문제가 생기기 쉽습니다. 

    (내장 그래픽은 시스템 램을 끌어다 비디오램으로 쓰기 때문)

     

     

     

     

     

     

     

    [기본 3가지 자세히]

     

    * 모든 링크는 '전체 공개' 이고 가입할 필요 없습니다.

     

    레드스톤4  설치 usb 만들기

    https://cafe.naver.com/fx8300/18267

     

    윈도우 설치 후에 하는 일과 각종 팁  

    https://cafe.naver.com/fx8300/39040

     

    각 메인보드 제조사별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https://cafe.naver.com/fx8300/157347

     

    레이븐릿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5월, 7월, 8월 버전)

    https://cafe.naver.com/fx8300/176168

     

     

     

    [추가 2가지 자세히]

     

    칩셋 드라이버와 레이븐 그래픽 드라이버의 충돌, 

    AMD cpu와 AMD vga 사용할 때 주의사항.

    https://cafe.naver.com/fx8300/180933

     

     

    라이젠 램오버 초간단 가이드 

    https://cafe.naver.com/fx8300/174591 

    (컴 입문자라면 꼭 건드릴 필요는 없고 오버클럭은 나중에 해도 됩니다) 

     

     

     

     

    Chapter2.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아요"

     

    인터넷에 질문하고 답변받고 다 해봐도 안되는 경우에는 3가지인데 

    조립 상태 불량, 교환이 필요한 제품 불량, 좀처럼 잘 없는 구형 기기와 신형 기기의 호환성입니다.

     

     

    "컴퓨터가 부팅도 잘 되고 게임도 되는데 조립상태가 불량하다구요?"

     

    예, 

    분명히 부팅도 잘되고 게임도 되는데 조립상태에 사소한 문제가 있으면 영향을 줍니다.

     

    [사례]

    ㅇ메인보드 24핀 케이블이 헐거워졌을 때 게임에서 랙이 생길 수 있고,

    ㅇ선정리 타이트하게 당기다가 사타 케이블이 슬쩍 비스듬히 빠지기도 하고

    ㅇ특히 요즘 메인보드 램 뱅크 왼쪽에 고정핀이 없는 경우에 처음 끼우는 사람은 왼쪽을 꽉 누르지 않고 적당히 꼽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분명 4+4 램을 끼워서 8기가 용량 잘 뜨는데, 정작 동작을 듀얼채널이 아니라 싱글채널로 작동하는 사례, 게임성능 하락)

    ㅇcpu 쿨러 조립할 때 나사 장력을 너무 세게 조이면 잘 가다가 프리징이 생기기도 합니다.

    ㅇ케이스와 미세한 쇼트로 이상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누드테스트하면 멀쩡한 게 케이스에 집어넣으면 문제가 생김)

    ㅇ심지어는 멀티탭의 노후화로 컴퓨터에 블루스크린이 뜨기도 하구요.

    ㅇ완제품 택배로 오는 동안 충격 받을 수 있구요. 

     

    이런 경우에는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게 무척 골치 아파집니다. (인터넷에서 하라는대로 다 해봤는데도 안되는 겁니다)

     

     

     

    [AMD cpu, 레이븐릿지 간단 조립방법, 조립할 때 특히 주의해야할 부분, 누드 테스트]

    https://cafe.naver.com/fx8300/188149

    (소프트웨어적으로 윈도우 재설치 + 하드웨어적으로 분해 재조립, 이 2가지만 할 줄 알면 웬만하면 에러없이 잘 쓸 수 있습니다.

    사실 조립이라는 게... 알고나면 아무 것도 아닌데, 모를 때는 막연하게 두렵습니다. 그것도 엄청. 그래도 잘 알아두면 이상한 컴퓨터 가게에서 덤탱이 당하지 않고 좋습니다) 

     

     

    [에러해결, 부팅이 안될 때, 모니터에 반응이 없을 때]

    https://cafe.naver.com/fx8300/153647

     

     

     

     

    [제품 불량과 호환성문제]

     

    초기불량은 어느 메이커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텔 i7과 아수스 메인보드도 초기불량은 나옵니다.

     

    빈도수가 그리 많지 않아 좀처럼 걸리지는 않지만, 내가 걸리면 ... 100%죠. 

    바로 메이커에 대한 신뢰가 곤두박질 칩니다.

     

    레이븐릿지의 경우에는 '내장'그래픽의 호환성 문제가 잡혀나가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부품을 바꾸면 해결되는 사례가 초큼 더 많을 수 있습니다.

    다행인 건, 이런 경우에 교환을 바로 바로 해줍니다.

    메인보드도 교환을 바로 해주고, 레이븐릿지를 스크린 문제가 있다고 AS 센터 보내면 '새 cpu'로 바로 내줍니다. 

     

    * 혹시라도 위에 다룬 '소프트웨어적인 방법 + 하드웨어적인 전부 분해 재조립 누드테스트'를 거쳐도 문제가 생긴다면,

    다른 생각 하지말고 그냥 AS를 받아서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그 외에 

    모니터가 너무 구형인 경우에 신형 그래픽카드와 호환이 안될 수 있습니다. 

    (모니터 드라이버 업데이트나 AS 보내서 펌웨어 업그레이드 받고 해결된 사례 있음)

    비슷(?)한 예로 인텔 구형 보드 쓰는 분들은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해주면 신형 그래픽카드와 호환성이 좋아지기도 합니다.

     


     

     

    "레이븐릿지는 전부 내장그래픽에 문제 있는 건가요?"

     

    아, 그건 아니고, 잘 쓰는 사람들이 당연히 많지요.

    아픈 컴퓨터만 눈에 띄어서 그렇지 잘 쓰고 있는 사람들이 많고 글을 안씁니다. 

    왜냐면 ... 잘 쓰고 있기 때문에 글을 쓸 필요가 없거든요.

     

    레이븐릿지 잘 쓰고 있는 사람들 

    https://cafe.naver.com/fx8300/153337


     

    예전에 외장그래픽카드 라데온 베가도 초창기에 스크린 이슈가 있었더군요. (지금이야 문제가 없지만)

    과거의 APU(AMD 내장그래픽 cpu)들은 이런 이슈가 전혀 없었는데, 이번에 레이븐릿지가 '베가'를 채용하고 나오면서 갑자기 터졌습니다. 

    아마... 시간이 해결해 주겠지요. 지금도 그러고 있고.  (바이오스 업데이트, 드라이버 업데이트, 윈도우 패치)

     

     

    정리하면,

    1. 기본적인 3가지를 최신으로 유지하고 

    (단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최신버전으로 문제가 생기면 5월 버전이나 7월 버전으로 바꿔보세요, 위에 링크)

     

    2. 칩셋 드라이버를 최신 께 나왔다고 해서 나중에 깔았다면 그래픽 드라이버를 다시 깔아주고,

     

    3. 뭔가 알 수 없는 이상증상이라면 전부 분해 재조립을 확실하게 해주고 

    그러면 대부분은 잘 쓰십니다. 

     

     

     

     

    하지만 어쨌거나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겪는 건 안타까운 일입니다.

    쿨엔조이 보니까 답답해서 걍 그래픽카드를 다신 분도 있거든요. 

     

    아이러니 한 건 따로 그래픽카드를 달면 문제는 전혀 안생깁니다. 

     

    일해라 AMD

     

     

     

     

     

     

    Chapter 3.

    "레이븐릿지에 외장그래픽을 달면 사치 아닌가요?"

     

    예전에는 ... 그랬죠. 

    왜냐면 과거에 AMD의 APU(내장그래픽 달린 cpu)가 cpu 성능 자체가 그리 뛰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레이븐릿지는 좀 다릅니다.

     

     

     

    [내가 가진 cpu의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2400G가 지금 신품으로 13만원대죠.

    i7 4790k는 여전히 중고 20만원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1.jpg

     

     

    2.jpg

     

     

    3.jpg

     

    https://www.youtube.com/watch?v=wfU68pY9Hfc

     

     

     

     

     

     

    2200G가 ... 

    지금 7만원대에 신품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4.jpg

     

     

    5.jpg

     

     

    6.jpg

     

    https://www.youtube.com/watch?v=7dsNreV3eLI

     

     

     

     

     

     

    "근데요. 레이븐릿지는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병목 때문에 소화 못시키지 않나요?"

     

    글쎄요... 위의 벤치와, 아래의 벤치마크에 꼽은 그래픽카드가 gtx 1080 ti입니다.

     

     

     

     

    이번에는 i5 8400과 비교입니다.

     

    2400G가 신품가 13만원대이고,

    i5 8400이 신품가 21만원대입니다.

     

    7.jpg

     

     

    8.jpg

     

     

    9.jpg

     

     

    https://www.youtube.com/watch?v=sph0ikVMZ5U


    2400G가 신품가 13만원대이고,

    i5 8400이 신품가 21만원대입니다.

     

    음.. cpu의 차액을 그래픽카드에 더 투자한다면? 그죠?

     

     

     

     

    현재 레이븐릿지를 쓰면서, 내장그래픽으로는 게임 성능에 목이 마르다면,

    망설이지 말고 그냥 그래픽카드 하나 사면 됩니다.

    요즘 중고는 10만원 밑으로도 좋은 그래픽카드를 살 수 있더군요.

    gtx 960 같은 애들은 예전 PC방 사양이었는데 많이 저렴해졌습니다.


     

     

     

     

     


    "근데, 엔비디아 외장그래픽카드를 달면, 내장그래픽은 필요없는 거 아닌가요?"

     

    글쎄요... 일부러 레이븐릿지에 외장 그래픽 카드를 꼽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http://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405514

    [잡담] 2200G나 2400G에 외장쓴다고 너무 뭐라 안 했으면 좋겠어요 

     

    게임은 엔비디아 고성능 그래픽카드로 하고,

    영화, 애니, 드라마 같은 동영상은 내장 그래픽으로 '플루이드 모션'으로 부드럽게 볼 수 있습니다.

     

     

    10.jpg


    https://www.youtube.com/watch?v=2Ku9l0I-lcY

     

     

     

     

     

    11.jpg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51&v=gXf63r-a5Tc

     

     

     

     

      

     

    12.jpg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106&v=2wTtft283ic

     

     

     

     

    어른들의 영상을 플루이드로 해서 보면, 음.... 어, 

      

     


    GIF

     

     

     

     

     

     

     

     

    14.jpg

     

     

     

     

    그렇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영화, 애니, 드라마들은 모두 플루이드로 잘 만들어줍니다.

    4K 모니터로도 출력이 되구요.

    (다만, 4K 3840 * 2160 원본영상까지 플루이드로 만드는 건 힘이 부치더군요.)

     

     

    제가 4K 모니터에 2400G를 쓰고 있는데,

    기가 a320m s2h + hdmi 2.0케이블로 4k 60hz 지원 잘 됩니다.

     

     

     

    15.jpg

     

     

     

    [단순 영상재생]

    원본영상이 

    FHD 1080p : 재생 잘 됨

    QHD 1440p : 재생 잘 됨

    UHD 2160p, 4K 60hz : 재생 잘 됨 (크롬, 웨일브라우저 사용, 유투브 영상)


     

    [플루이드로 60p 만들어서 재생]

    원본영상이

    FHD 1080p : 플루이드 잘 됨

    QHD 1440p : 플루이드 잘 됨

    UHD  2160p : 안 됨, 싱크 밀리거나 재생 밀림. (cpu, gpu 순정상태, 램오버 3200Mhz으로 시도)

     

     

    4k 영상을 플루이드로 만드는 건 어렵더군요. 이건 더 성능 좋은 라데온 그래픽카드가 필요합니다. 

    (2400G의 3d mark fire strike는 보통 3천점대입니다)

    2400G를 GPU 오버클럭해서 4k 플루이드 하신 분도 있던데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일단 2400G 순정에서 4K 플루이드는 안됩니다.

    물론, 원본영상이 1080p, 1440p인 영상을 플루이드로 60p로 재생해서 4K 모니터로 출력하는 건 당연히 잘 됩니다.

     

     

     

    [플루이드 모션과 하는 방법]

    https://cafe.naver.com/fx8300/41401

     

    유투브 영상도 플루이드 모션으로 부드럽게 보기 

    https://cafe.naver.com/fx8300/121415 

     

     

     

     

     

     

     

     

    [내가 가진 cpu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다중작업]

     

     

    16.png

     

     

    17.jpg

     

     

     

     

     

     

     

    18.jpg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524&v=E5i1uWP5WXw

     

    8쓰레드 cpu의 cpu 자원, 다중실행능력.utb


    애니 동영상 틀어놓고

    + 유투브 동영상 

    + 검은사막 게임 

    + FM2015 게임 

    + PDF 문자인식 기울기보정작업 

    + 포토샵 액션배치작업 

    + 동영상 인코딩 

    + 가상머신 windows XP


    전부 '동시작업'으로 '실시간'으로 돌아갑니다. (각각의 게임화면, 영상화면, 작업화면이 모두 제각각 실시간으로 움직임)




    이런 다중실행능력(cpu 자원)은 과거에 인텔 i5(4코어4쓰레드)를 쓰다가 i7(4코어 8쓰레드)으로 올라가는 이유가 되기도 했습니다.


    인텔 i7 살려니 너무 비싸고, 사람들이 i5 굉장히 좋다고해서 산 사람이,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시작했는데 가끔 컴파일링할 때 버벅이다가 아무것도 못하고 다운될 때도 있고, 가상머신 몇 개 띄우고 뭐 좀 같이 할려고 하는데 버벅이고, 사람들한테 물어보니 i5 -> i7 으로 업글하라고 답변이 돌아옵니다.


    어떤 사람은 매장에 고화질 cctv 4대를 설치하고 쓰다가, 이번에 두세대 더 늘렸는데 어째 버벅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캠 접속해봐도 정지화면. 

    알아보니 cpu 점유율이 찼대요. i5 -> i7으로 업글하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은 핸드폰으로 애기들 동영상 찍고 나서, 이번에 영상편집을 한 번 배워보기로 했어요. 

    그런데 예전에는 게임도 하면서 이것저것 띄우고 하곤 했는데 이제는 안돼요. 버벅여요. 

    작업 걸어놓고 기다리다가 평소처럼 오버워치 좀 할려고 했는데 이상해요. 

    컴퓨터에 문제가 생겼나? 알아보니 i5 -> i7으로 업글하라고 합니다.


    게임 좀 하다가 에뮬레이터라는 것도 알게 되고, 오토게임, 다중클라이언트를 알게 됐어요. 

    근데 난 좀 더 돌리고 싶은데 안돼요. 또 이렇게 하다보니 컴퓨터가 버벅여요. 알아보니 i7으로 업글하라고 합니다.


    이런 게 바로 'cpu 자원, 코어와 쓰레드'입니다.

     

     

     

     

    예전의 펜티엄은 이 그래프가 2개, i5는 4개였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만 해도 그래프가 쭉쭉 올라갑니다. 

     

     

    2400G는 4코어 8쓰레드 예전 i7 대응

    2200G는 4코어 4쓰레드 예전 i5 대응입니다.

     

    평소에 이것 저것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도 부드럽게 잘 돌아가는 걸 경험하셨을 겁니다.

     

     

     

     

    특히 2400G는 예전 i7 4코어 8쓰레드의 특성을 가졌기 때문에, 

    신품가 13만원 정도하는 CPU 중에서는 가장 아래 용도에 적합합니다.


    ㅇ3D 작업

    ㅇ영상편집

    ㅇ모니터 2개 이상 쓰는 사람

    ㅇ프로그래머, 매트랩,

    ㅇ오토캐드, OrCAD

    ㅇ통계분석 SPSS

    ㅇ논리회로 시뮬레이터 하는 사람.

    ㅇ웹에디터, 퍼블리셔, 웹디자이너

    ㅇ네트워크 관리자

    ㅇ안드로이드 녹스 에뮬레이터, 다중클라이언트 게임 여러개 돌리는 사람

    ㅇ가상머신을 돌리는 사람

    ㅇ인코딩이나 렌더링 걸고도 다른 작업하기

    ㅇ스팀류 게임, 고사양 최신게임

    ㅇ방송

    ㅇ정신차리고 나면 데스크탑에 뭐가 많이 떠있는 사람

    ㅇ생각나는대로 이런 저런 작업을 계속 걸어도 버벅이지 않는 컴을 원하는 사람


    ㅇ엔비디아 유저가 플루이드 모션을 쓰고 싶을 때

    ㅇ저전력 저발열, 전천후 cpu 


    ㅇ아들 공부하라고 외장그래픽 없는 컴퓨터를 사준다고 했을 때, 아들이 제시할 수 있는 비장의 카드

    (어라 그래픽카드가 없는데 게임이 되네)



    예전 i5, i7 수준으로 잘 돌아가니까, 

    내가 비록 싸구려 cpu를 샀다고 해서 무작정 cpu 업글을 해야하는지 고민할 필요는 없다는 뜻입니다.

     

    물론 요즘에는 라이젠 출시로 8코어 16쓰레드도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어서 좋지요. 

    (2017년 3월 이전에는 cpu 값만 130만원 정도 했습니다, i7 5960x)

    AMD가 분발하니까 인텔도 소비자에게 '이전보다 더 좋은 인텔 cpu'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쟁은 소비자에게 참 좋은 것 같습니다. 



     

     

     

     

    "근데 전기는 얼마나 먹어요?"

     

    19.jpg

     

     

    20.jpg

     

     

    2400G가 통상적으로 25 ~ 80w 정도 먹습니다. 

     

    아이들링시 : 25w

    게임, 3d mark 돌릴 때 : 80w

     

    가정용 선풍기 정도입니다. (45 ~ 60w)

     

    특히, 25w는 제 넷북을 충전시키면서 웹서핑할 때 먹는 전력입니다.

     

    21.jpg

     

     

     

     

     

     

    22.jpg

     

     

    3d mark fire strike 돌린 후 온도입니다.

    기본 쿨러인데도 온도 잘 잡습니다.

     


     

    2400G의 기본 쿨러는 성능이 썩 좋지 않습니다. 

    레이스 쿨러에 비하면 방열판 크기도 작습니다.

    (저전력 저발열이라 좋은 거 안주나봅니다)

     


    20180820123146_zwthuddx.jpg

     

     

    그래도 순정상태 2400G의 온도를 잘 잡습니다.

     

     

     

     

     

     

    20180820123353_zhavgkze.jpg

     

     

    3d mark 파스 cpu 점수

     

    그래픽카드 점수는 3,150점이 나왔었는데, GPU 오버클럭을 하면 4,000점도 나오지만 되도록 권하지 않습니다. 

    오버클럭은 잘 못하면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꼭 하고 싶다면 램오버 정도만 권합니다. 위쪽 링크)

     

    AMD는 a320 저가형 보드도 램오버를 지원하기 때문에 삼성램 2개 꼽고 3,200Mhz까지는 곧잘 나옵니다.

    그 정도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권장 세팅]

     

    위에서 다룬 거 외에... (아, 윈도우 설치 후 할일에 중요팁들이 있습니다. 빠른시작해제라든가)

     

    쿨엔조이에서 게임플레이중 이유없는 프레임드랍을 해결했던 방법 중에 터보코어를 껐던 게 있습니다.

    레이븐릿지의 터보코어는 켜 봐야 올라가는 클럭이 미약한데 전압만 많이 주는지라 끄는 걸 권장합니다.

     

    각 메인보드 제조사별 터보코어 끄는 방법 

    https://cafe.naver.com/fx8300/155074

     

    [팁] 게임 성능 향상, HPET 비활성화, GPU로드율 개선

    https://cafe.naver.com/fx8300/154107


    [SVM]

    CMOS에 있는 S.V.M, 

    Secure Virtual Machine 을 disabled

    단, 녹스, 모모 등 안드로이드 가상 머신 쓰는 사람들은 enabled

     

     

    [내장그래픽 비디오램 2기가 설정방법]
    기가바이트 

    바이오스타 
     
     
     
     

    Untitled-2.jpg

     

     

     
     

    레이븐릿지 가지고 계시는 분들이 고생을 좀 덜하고, 

    가지고 있는 cpu에 대해서 좀 더 잘 알고,

    아무쪼록 잘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별 건 아닌데, 알면 좋고 모르면 고생하는 부분이 있어서 글을 적습니다.

     

    출처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3/read/2162879

    카페 : AMD 비쉐라 라이젠 컴퓨터 사용자 모임

    https://cafe.naver.com/fx8300/174591


    신고
    • 댓글이 19 개 달렸습니다.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컴퓨터
    | 스탭: 스톤콜드

    ※ 필독 ※ 컴퓨터게시판 규정 안내 (2025.02.16 수정) (5)스톤콜드 24.12.24추천 1
    와이고수 유저들을 위한 11월 표준견적.txt (35)스톤콜드 24.11.02추천 5
    신문고 (2)스톤콜드 24.12.24-
    🎉 미네랄 와토 베타 테스트 게시판 오픈 안내 (16) YGOSU 25.06.18-
    [견적] 나쁜말ㄴㄴ 견적.jpg (3) 의사6725.07.27-
    컴퓨터 잘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제발! (8)얼짱이에요11325.07.25추천 1
    [정보] 인체공학 마우스 및 키보드. JPG (1) 갈리우스12625.07.24추천 1
    Rtx 5060ti vs rx9060 16gb 머가나을까요? (11)얼짱이에요10625.07.23-
    [견적] 게이밍으로 쓸만한지.. (3) 박카수엠디15825.07.22추천 1
    [견적] 이륙 허가가능할까요 형님들? (3) CCCz13025.07.21-
    컴퓨터 팔았는데 구매자한테 연락왔따...ㅠ (3)타나타노트17325.07.19-
    [견적] 형님들 견적 이륙해도 되겠습니까 (4) Clarity15925.07.17-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납니다..제발 도와주세요 (6)타나타노트12325.07.16-
    가만히 있는데 온도가 너무 높아요 (7) 타나타노트12525.07.15-
    [견적] 이것도 평가부탁드려요 (6) 현준강민13825.07.14-
    [견적] 이륙할까요? (1) 현준강민15225.07.13-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좀 드려봅니다.. (2) 하하호호히헤후15625.07.13-
    [견적] 컴퓨터 견적좀 짜주세요 와고 고수형들ㅠㅠ (2)춤추는고라파덕13525.07.13-
    a320 보드에 라이젠 5600 rtx2060 쓰는거 어떨까요 (1)타나타노트12825.07.12추천 1
    [질문] FXSOUND 프로그램에서 이 빨간색 표시한 장치를 제거하는 방법 있을까요? 음란마구니9225.07.11-
    [견적] 이거 이륙해도 댐??  (3) MD.범생18925.07.09추천 1
    [견적] 질문드립니다. 견적 (4) 짜냥이20225.07.07-
    [질문] 혹시 FXSOUND라는 프로그램 쓰시는분 계실까요? 질문이 있습니다 (2) 음란마구니10125.07.02-
    [견적] 이정도면 괜찮은가요? 견적문의 (3) 뻐네노15125.07.02-
    [질문] 온도도 체킇해봤습니다 51도 나옴 (7)이것은무엇인고14125.07.01-
    [견적] 견적 좀 봐주세요 (2) 저놉15825.07.01-
    카티아 솔리드웍스 사용하기엔 어떤 cpu가 괜찮을까요 (1)타나타노트11825.06.30-
    [질문] 물어볼데가 없어서  (2)이것은무엇인고10625.06.30-
    동생들~40대 아잰데 10년만에 컴터 사려고 하는데 도움 좀 줘유. (2) Crunky9815725.06.3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