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사실때 패널의 종류와 장단점은 알고잇나요?? 전 잘 모르겟네요 ips>va>tn??
참고로 내 모니터는 ips이에요
삼성전자가 울트라HD(UHD) 시장에서 LCD 패널을 채용한 커브드(곡면형)TV를 선보이며 경쟁사들을 압박하고 나서자 LG전자가 고민에 빠졌다. 10년전 채택한 LCD 패널 기술인 IPS 방식으로는 커브드TV 구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24일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UHD TV 제품 대부분을 커브드TV로 내 놓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뒤 대책 마련에 나섰다. LG전자가 LCD 패널 구동 기술로 선택한 IPS가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곡면으로 구부릴 경우 갖고 있는 특장점이 일부 사라지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VA 방식 패널은 그대로 커브드TV 구현이 가능하지만 IPS 패널은 커브드TV로 만들 경우 광시야각, 세밀한 명암 표현 등의 장점이 일부분 사라진다"고 말했다.
◆운명가른 10년전 선택, 삼성은 VAㆍLG는 IPS
VA 방식은 액정소자를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는 기술이다. 명암비와 광시야각 모두 만족스럽지만 가격이 비싸고 응답속도가 다소 낮은 것이 단점이다. 또 다른 단점은 액정에 압력을 가할 경우 색이 번지는 현상이다. 바로 복원이 안돼 터치스크린 등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LG전자가 선택한 IPS 방식은 액정소자를 가로로 배열한다. 광시야각은 물론 응답속도도 빠르고 액정에 압력을 가해도 색이 번지지 않는다. 하지만 액정소자의 배열 구조상 백라이트의 빛이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특성이 있어 명암비가 낮은 것이 단점이다.
이같은 차이 때문에 LG전자는 LCD 패널을 채용한 커브드TV 대신 OLED TV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OLED TV 시장에서 관망만 하고 있는 점도 OLED의 가장 큰 장점이 커브드TV 구현이라는 점에서 LCD의 수명을 이어갈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OLED의 경우 여러가지 장점이 있지만 아직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라며 "LCD에서 커브드TV 구현이 가능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지 못하는 OLED TV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글고 난 커브드가 그렇게 좋은지모르겟다
또oled는 궁금한게 삼성 아몰레드액정이랑엘지 폰ips랑 비교하명 엘지액정이나은데 티비oled는 아몰레드단점다잇눈거아닌가?근데 티비 oled광고하는거보면 장점만잇는거처럼 광고하던데 이부분궁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