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읽기 귀찮으신 분이나 난독증이 있으신 분께서는 붉은 글씨로 된 부분만 읽으시거나 마지막 결론만 읽으셔도 좋습니다.
2011년 12월 초 기준으로 20만원 전후에 거래되고 있는 HD6870 중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사파이어의 라데온 HD6870 GDDR5 1GB 제품의 리뷰입니다. 10만원 이하가 보급 기종이라고 한다면 10~20만원이 중급 기종, 20~30만원 이상이 고급기종이라 할 때 6870은 고급 기종에 아슬아슬하게 포함되어 있는 제품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가격이 보급, 중급, 고급을 나누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3D 게임에 관심 있다'고 할 때 15~20만원대 제품을 많이 찾는 것을 생각하면 고급임과 동시에 가장 메이저한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제품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이 제품보다 상위 라인업을 형성하고 있는 지포스 560Ti와 HD6950과의 간접적인 비교를 통해 성능을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2. 제품사양
제조회사 | SAPPHIRE (제조사 웹사이트 바로가기) | 등록년월 | 2010년 10월 |
칩셋 제조사 | AMD(ATi) | 칩셋 그룹 | 라데온 HD 68xx |
ATI 칩셋 | 라데온 HD 6870 | GPU 제조 공정 | 40 nm |
스트림 프로세서 | 1120 개 | 코어 클럭 | 930 MHz |
메모리 종류 | GDDR5(DDR5) | 메모리 클럭 | 4400 MHz |
메모리 용량 | 1GB | 메모리 버스 | 256-bit |
인터페이스 | PCI-Express 2.0 x16 | 카드 크기 | 일반 |
코어 냉각방식 | 방열판+쿨러 | | |
부가 기능 |
멀티 VGA | ○ | TV-OUT | |
Dual-Link | ○ | Vivo | |
영상 출력 |
S-VIDEO | | 컴포넌트 | |
컴포지트AV | | D-SUB | |
DVI | 2개 | DisplayPort | DisplayPort |
HDMI | HDMI일체 | | |
제품 외형 |
길이 | 248 mm | 두께 | 35 mm |
전원 포트 | 6핀 x 2 개 | | |
소비 전력 |
유휴 상태(idle) | 유휴 19W | 최대 사용 전력 | 최대 151W |
AMD 권장 파워용량 | 정격파워 500W 이상 | | |
유통회사 | 이엠텍 | | |
위는 다나와에서 제공되는 제품의 사양표입니다.
컴고수들은 이것이 무슨 소린지 대강 다 알아듣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언제봐도 참 어려운 부분인거 같습니다.
ATI(AMD) 그래픽카드의 성능 척도인 "스트림 프로세서"는 이 제품이 1120개이며 이보다 상위 제품인 HD6950의 경우 1408개로 25%정도 많습니다.
저는 전기에 좀 민감한 편입니다.
아직도 계속 오르고 있거든요 ㅠ_ㅠ
HD6950의 경우 최대 전력소모량이 200W라는 크고 아름다움을 자랑하지만,
HD6870은 최대 151W 를 소모합니다. 이것도 다소 높은 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감당할만한 수준인거 같습니다.
HD6950의 기판 길이도 크고 아름다운 편이어서 미니케이스 장착에 애로사항이 꽃필 수 있는 정도였는데 말이죠.
HD6950과 성능이 비슷한 지포스 560Ti의 경우 기판 길이가 220~230mm 정도임을 생각한다면 ATI(AMD)는 기판 길이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다른 ATI 제품도 비슷한걸로 봐선 이건 사파이어측의 문제는 아닙니다)
그런데 ATI는 옛날부터 기판이 크고 아름다웠잖아?
박스 또한 크고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 EVGA의 박스 크기를 아시는 분이라면 굉장한 과대포장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저만 그런지 몰라도 적당히(?) 커다란 크기의 박스는 왠지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줍니다.
안에는 골판지로 된 또 하나의 박스가 들어 있습니다.
제품을 대강 다 꺼내 놓으면 위와 같은데요, 다른 리뷰나 제품 소개에는 DVI 젠더라던지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저는 그런거 없고 DP - HDMI 변환 케이블과 크로스파이어 구성 부품이 있었습니다.
역시 일반인은 전혀 관심이 없는 기판부읭 모습.. 모 사이트에서는 이게 GPU랑 연결되는 부분이고 어쩌고 하지만 컴덕이 아닌한 관심이 있을리가 없죠. 그냥 이렇게 생겼구나 정도만 참고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제품 외관에서 드러나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이런 출력 포트들입니다.
요즘 추세에 맞게
DVI 위주의 다양한 포트를 지원합니다. 후면 출력포트는
사파이어 HD6950과 차이점을 전혀 느낄 수 없을 만큼 동일합니다.
DP 포트는 HDMI과 비슷한 성능(음향 출력도 가능)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대중적으로 쓰이는 포트가 아닙니다. 그런데 혹자는 "HDMI 2개 박지 DP를 왜 2개 박음?"이란 의문이 드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HDMI는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돈이 없어서 DP를 더 많이 사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래도 DP to HDMI 젠더가 제공되고 애초에 DP는 데이터적으로 HDMI와 호환이 되는 기술이라 별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6핀 보조전원이 2개 필요합니다.
80mm의 쿨링팬은 나쁘지 않습니다. 이 제품을 2주간 오픈케이스에서 사용했는데도 크게 거슬리는 소음을 느끼긴 어려웠습니다.
4. 테스트 PC 사양
이번 테스트에서는 프로푸스를 제외하였습니다. 일단 프로푸스 620 쓰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아서요.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더 많이 사용하는 데네브를 구해서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타크래프트2는 4:4 팀플레이 리플레이를 재생하여 특정 플레이어 시점에서 평균 프레임을 측정하였습니다.
스타크래프트2 테스트입니다. 높음이나 중간 옵션에선 거의 오차범위 이내의 차이입니다. 2회씩 측정하였습니다만 거의 차이는 없었고, 오히려 아주높음보다 최고급에서 더 좋은 프레임을 보여주는 기염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560Ti도 마찬가지군요)
어쨌든 스타2에서는 560Ti와 6950에 필적하는 높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체감으로 거의 느끼기 힘든 차이입니다.
6. 테라 테스트
모든 옵션을 다 키고 같은 필드에서 동일한 몹을 잡으며 테스트한 결과입니다.
결과적으로 HD6950에 비해 약 7% 정도 뒤진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주 복잡한 상황이 연출된다면 이 차이는 더 벌어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을 만큼 작은 차이인듯 합니다.
7. 슈퍼 스트리트파이터4 AE 테스트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벤치마킹툴 게임입니다.
1920 x 1080 해상도에 모든 옵션을 최상으로 하였고, 결과는 138 프레임 내외입니다. 여러번 반복해서 측정한 결과 135~140 정도에서 왔다갔다 하는 정도입니다.
직접 560Ti와 6950을 테스트하진 못했지만, 참고로 저와 비슷한 환경에서 타 벤치 결과로는
HD6950 = 147~150
560Ti = 185~195
정도를 보여줍니다. 아무래도 NVIDIA에 최적화된 게임인듯
8. 3DMARK 11 v1.0.2 테스트
3DMARK 11 은 다이렉트X 11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위는 Performance 기준으로 테스트한 결과이며 개인적으로 벤치마크툴 점수놀이는 별로 안 좋아하지만 한 번 해봤습니다. 이후 벤치에서는 3DMARK 11을 참고로 계속 돌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점수가 감이 안 오실테지만 다른 그래픽카드와 비교를 해본다면 감이 올 수 있을거 같아서요.
9. 결론
사파이어 라데온 HD6870은 사실 560Ti 나 HD6950의 경쟁자는 아닐겁니다. 가격도 몇만원 이상 차이가 나고 성능도 더 떨어지는 제품임은 확실하니깐요. 그러나 요즘 온라인 게임들은 특수한 상황(대규모 공성전, RvR 등)이 아닌 이상 생각보다 높은 수준의 사양을 요구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그런 점을 감안했을 때, HD6870은 560(Ti가 아닙니다)과 함께 "합리적인"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그래픽을 즐길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이 아닌가 합니다.
특히 사파이어 라데온 HD6870은 다른 메이커의 HD6870에 비해 메모리 클럭과 코어 클럭에서 더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라데온 HD6870을 구입하려는 분들에겐 역시 최고의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6870, 560 모두 가격이나 성능이나 훌륭한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어
듀얼 GPU 구성 시 그 진가가 더욱 발휘되는 그래픽카드인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