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 0 이라는 뜻은 정수형 변수 k에 0을 대입 즉, 0으로 초기화 시킨다 뜻입니다.
k = 0; 을 삽입하면 왜 4가 나오냐면
i = 1 일 때, j = 1, k = 1, total = 1(이 때 j가 i 값과 같아지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오면서 i가 2가 되면서 k값 변수 0을 초기화 시킴) <-- 님께서 질문하신 k = 0; 역할이 여기서 적용됩니다. k 값을 증가 저장을 안하고 k = 0 으로 초기화 시키는 역할을 함.
i = 2 일 때, j = 1, k = 1 (j가 i와 같거나 작을 때까지 반복 수행하므로, j값은 2가 되어 반복문을 수행함)
후위연산식으로 j = 2가 되어 k = 3이 됨. j와 i가 같아지므로 반복문을 최종적으로 빠져나오면서
i가 1회전 수행 한 후 total에 저장되어 있던 값(1)과, i가 2회전 수행 한 후 최종 k값이 3이 되면서, 둘이 더한 값 최종 total은 4가 됩니다.
변수 값 위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므로 주의하셔야 함(전위연산, 후휘연산도 주의하셔야 하고요)
아아니다 조건식 잘못봣네
total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