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에서 언리얼엔진5를 위한 DLSS 플러그인을 출시했습니다.
DLSS? 그게 뭐죠?
DLSS (Deep Learning Super Sampling)는 아마도 게임 업계 전문가분들 뿐만 아니라 일반 게이머들도 알만한 용어가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딥러닝 인공지능을 이용한 업스케일링 방식입니다. 아시는 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게임에서 이 DLSS 기능을 켜주면 화질도 좀 좋아지고, FPS도 더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적어도 마케팅은 그런식으로 합니다만 저는 실제로 게임 할 때 비교해본 적이 없어서 얼마나 더 좋아지는 건지 체험 해보거나 해보지는 못했습니다. 아니 하드웨어를 바꾸는 것도 아니고, 돈을 더 내는 것도 아닌데 갑자기 프레임도 더 주고 해상도도 더 준다니 이게 말이 됩니까? 이 와중에 이 기술이 언리얼엔진에 적용된다니 의심이 가면서도 너무 궁금해서 발표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엔비디아 마케팅 영상만 보면 뭐 거의 마법 수준입니다.
DLSS ❤️ 언리얼엔진
발표자료를 살펴보니 대략 이 기술을 언리얼엔진에 적용해서 언리얼 개발자들이 개발 작업을 할 때, 에디터에서 좀 더 쾌적하게 개발을 할 수 있고, 렌더링 할 때도 DLSS 를 적용할 수 있는 옵션이 생겼다는 이야기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마케팅은 마케팅이고 실제로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려면 직접 테스트 해보는 수 밖에 없었습니다. 유튜브에 검색해보니 테스트 해보는 영상 몇개가 있긴 했는데 UE5 프리뷰 버젼은 없었고, 그나마 있는 4.27 버젼의 테스트 영상도 아주 간단한 비교 영상밖에는 없고, 렌더링 옵션이 수십가지가 넘게 생겼는데 하나밖에 비교를 안하길래 이때다 싶어서 영상도 만들겸 다운로드 받아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플러그인 다운로드/설치
일단 플러그인은 엔비디아 개발자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면 폴더 몇개와 설명서가 나오는데. 설명서를 보니 대충 어떻게 작동하는건지 감이 딱 오더라구요........ 완전히 이해했어...... 크흠. 하여튼 대략적인 감만 잡고 가이드에 적힌대로 폴더 3개를 언리얼엔진 플러그인 폴더에 옮겨주면 설치 완료됩니다. 이후에는 플러그인을 적용할 언리얼엔진 프로젝트의 플러그인 창으로 가서 DLSS 검색해서 나오는 두가지 옵션 켜주고 엔진 재시작 하면 됩니다.
https://developer.nvidia.com/rtx/ray-tracing/dlss/get-started
작업 할때 도와주는 DLSS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