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노트북 선택하는 팁과 분류 기준 : 컴퓨터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0
게임 0
유물

노트북 선택하는 팁과 분류 기준 [2]

Minerals : 1,530 / Level : 이병 이병
2022-02-21 14:13:30 (4년 전) / READ : 588

    안녕하세요~

    저는 최근에 노트북을 구매를 하기 위해서 이런 저런 자료를 많이 찾아봤습니다.

    성능, 무게, 화면 크기, 브랜드... 등 너무 많더라고요.. 그리고 특히 가격.. 노트북이 적은 금액은 아니잖아요;;

    저는 돈이 많은 입장이 아니다 보니 생각보다 많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도 아니고 부족한 지식일 수 있겠지만 혹시나 저처럼 노트북 구매를 하시려고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1. OS

    운영체제, 즉 윈도우, 맥, 리눅스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리눅스보다는 윈도우가 좋은 거 같아요.


    주로 사용하는 업무에 따른 OS

    윈도우 : 은행 업무, PPT, 엑셀, 회사 업무, 게임 등 전반적으로 사용

    맥 : 포토샵, 파이널 컷, 동영상 편집 등에 사용


    맥은 관공서 및 은행 업무 등 사무적으로 사용하기 불편한 부분이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개선이 많이 되고 있다가 하지만

    아직까지는 윈도우보다는 편하진 않습니다.




    2. CPU

    CPU를 사람으로 비유하면 '뇌'의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회사는 인텔, AMD 두 회사에서 주로 생산이 됩니다.


    인텔의 경우 i9 > i7 > i5 > i3 > 셀러롬 > 아톰 순으로 성능이 좋습니다.

    AMD의 경우 라이젠9 > 라이젠7 > 라이젠5 > 라이젠3 > 애슬론 순으로 성능이 좋습니다.


    간단한 문서 작성으로는 i3 & 라이젠3

    영상 시청, 낮은 사양의 게임 및 많은 문서 사용은 i5 & 라이젠5

    동영상 편집 및 고사양 게임, CAD 등 복잡한 업무를 위해서는 i7, 라이젠7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 CPU 성능이 좋을수록 전력 소모량이 상당히 많습니다.

    때문에 CPU 성능이 좋으면 배터리 용량이 크지만 소모량도 많기 때문에 배터리가 빨리 소진이 될 수 있습니다.



    팁!

    예시 : i7 - 11/65/G7

    1. i7 : 코어의 갯수

    2. 11 : 해당 CPU의 세대를 뜻합니다. 예시의 11은 11세대입니다.

    3. 65 : 해당 CPU의 성능을 말합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성능이 좋습니다.

    4. G7 : 해당 CPU의 특성을 말합니다.




    3. RAM

    컴퓨터의 기억장치입니다. 탑재된 메모리 용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한 번에 많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기준으로는 최소 4GB 이상의 메모리가 필요하며, 원활한 작업을 하기를 바라시면 8GB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시면 16GB 이상의 노트북을 추천드립니다.


    + 간단한 문서작업 및 동영상 강의에 사용하시려면 4GB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버벅이지 않고 멀티태스킹 정도를 원하시면 8GB

    고성능 게임, 디자인 작업, CAD 등은 16GB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4. 저장 공간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VS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저장 공간은 HDD, SSD 이렇게 두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정보 전달 및 정보 처리 속도에 다라 사용하는 노트북 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HDD는 데이터를 쓰고 읽는 속도가 느리지만 저장 공간이 크고 저렴합니다.

    SSD는 읽고 쓰는 속도는 빠르지만 저장 공간이 적고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사무적으로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 문서적인 업무는 SSD를 추천합니다.


    + 저장 공간과 속도를 둘 다 가지시려고 하시면 SSD와 HDD를 같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5. 그래픽카드

    컴퓨터 그래픽(영샹, 이미지 등)을 처리하며, 성능이 좋을수록 화면이 빠르고 부드럽게 출력됩니다.

    이미지, 영상편집, 고사양의 게이밍 노트북을 제외하고는 내장용 그래픽카드로도 충분합니다.


    + 고사양 게이밍 노트북은 외장형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회사로는 엔비디, AMD가 있습니다!




    6. 디스플레이 해상도, 주사율

    해상도는 사진을 표현하는 픽셀수를 의미합니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HD, FHD, UHD=4K가 있습니다. UHD=4K > FHD > HD 순으로 해상도가 높습니다.

    또한 영상 편집 및 사진 편집, 게임을 하시는 분이라면 4K 해상도를 추천드립니다.


    주사율은 1초에 얼마나 깜빡이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보통 60Hz의 주사율을 사용합니다

    주사율이 낮으면 화면이 약간씩 끊기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때문에 FPS 등의 게임을 하신다면 144Hz 정도를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사무적으로 사용할 노트북이라 엄청 높은 스펙의 노트북이 아닌 가성비가 좀 들어가 있는 노트북을 찾아봤습니다.

    아무리 사무적으로 사용한다고 해도 너무 답답한 것은 싫어해서 i5 8GB 이상의 노트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좀 더 저렴하게 찾으려고하면 i3 도 있지만... ㅎㅎ

    여기서 브랜드도 어느정도는 보고 있습니다. 제가 잘 모르는 브랜드의 노트북 같은 경우는 조금 불안하기도 하고

    AS 받을 때 불편하지 않을까 싶어서 아는 브랜드 쪽으로 생각합니다.



    https://blog.naver.com/jswon4908/222652359955

    이 블로그에 잘 설명은 되어 있는 거 같아서 여기에서 고를까 싶습니다.

    신고
    • 댓글이 2 개 달렸습니다.
    • 4년 전
      글에 엄지척!하는 네이버 이모티콘이 빠졌네
    • 1165g7처럼 저전력 cpu는 i5 i7 4코어 8쓰레드로 같고 클럭차이만 있어요 그래서 모바일칩셋cpu는 i5가 인기많고 게이밍이나 고성능작업용은 코어h고전력 노트북cpu가 인기많음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 필독 ※ 컴퓨터게시판 규정 안내 (2025.02.16 수정) (5)스톤콜드 24.12.24추천 1
    와이고수 유저들을 위한 11월 표준견적.txt (35)스톤콜드 24.11.02추천 5
    신문고 (2)스톤콜드 24.12.24-
    🎉 미네랄 응모 이벤트, 더욱 강력하게 다시 시작됩니다! 🎉 (12) YGOSU 25.08.02-
    [질문] 삼성 이 세개모니터중에 뭐가 좋을까요 (7) 아리무라카스미37622.02.22-
    [질문] 고수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안됩니다그건38922.02.22-
    [질문] 그래픽카드 오류인데 왜이런가요ㅠㅠ?? (4) 강아지귀여워35622.02.21-
    [질문] 윈도우 2003 WmiprvSER.exe 뭔지 아시는분 ? (4)약한영웅63522.02.21-
    [질문] 컴알못인데용 지인에게 45만원 주고 삿습니다 (9)호호준58222.02.21-
    [질문] 프린터 레이저가 좋아요? 무한잉크가 좋아요? (6)승려72622.02.20-
    [질문] 중고컴 시세 질문이요 (4) 솽솽솽솽43422.02.20-
    [질문] 모니터 144hz 사용을 하고 싶어서 문의드립니답. (11) 181-6682022.02.20-
    [질문] 노트북 사려는데 리퍼한거 싸게 파는거는 어떻게 생각해요 형들?? (4)딸배29422.02.20-
    [질문] 글자깨짐현상때문에 질문좀 드립니다 ㅠ (4) qzzq37722.02.20-
    [질문] 글카 가격 3050 3060 6600xt (3)아싸라빕야야70922.02.20-
    [질문] 고수님들 질문있습니다 (3)일베=짱깨25422.02.19-
    [질문] 80만원대 견적 손좀 봐주세요 (6) 아몰르파티57922.02.19-
    [질문] 당근으로 사려고하는데 한번 봐주세용 (4) 드프캅58122.02.19-
    [질문] 오늘 살려고 하는데 어때요? (5)qzzq39422.02.19-
    [질문] 대학생 노트북 사려는데 (6)-___-72722.02.18-
    [질문] 컴린이 조립pc 샀는데요 내장그래픽이 안나옵니다. (2) 놀러와라조로67222.02.18-
    [질문] 인터넷 측정 사이트 어디가 제일 정확한가요? (1)음란마구니32922.02.18-
    [질문] 모니터 144hz 설정이 안돼요 (2) 이게모징39822.02.18-
    [질문] 이 사양으로는 롤 144 고정이 힘든가요? (5)여운형78222.02.18-
    [질문] 프레임 드랍 질문ㅠㅠ (13)bus71558122.02.18-
    [질문] 형님들 대답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2)카카밀카35822.02.18-
    [질문] 컴퓨터 스피커 추천좀요 (5)3마인은기적48722.02.18-
    [질문] 영상편집용 노트북 추천부탁드려요!! (10)암밷맨48322.02.18-
    [질문] 사무실 컴퓨터 소폭 업글 조언부탁드려요 (2) 안양시하버드26622.02.17-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