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기본 물리법칙을 무시하는 유튜버를 보고 몇자적음 : 컴퓨터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0
게임 0
유물

컴퓨터
| 스탭: 스톤콜드

기본 물리법칙을 무시하는 유튜버를 보고 몇자적음 [21]

Minerals : 878,090 / Level : 소령 소령
2020-09-12 20:25:56 (5년 전) / READ : 488

    열역학 제1법칙

    닫힌 계의 내부에너지 증가량은 계에 더해진 열에너지에서 계가 외부에 해준 일을 뺀 양과 같다.

     

    쉽게 풀어서 설명하면 길어지는데 파워서플라이에 적용시키면 다음과 같다

     

    1000w 파워로 500w 전력을 소모하면 발생하는 열과 500w파워로 500w 전력을 소모할때 발생하는 열은 어떻게 다를까?

    먼저 일의 단위를 알아보자.

    일의 단위는 와트초(Watt Second/watts), 줄(Joule), 칼로리(Calorie)가 있다.

    세가지 단위는 물리차원이 같기 때문에 적당한 상수로 나누면 서로 변경이 가능하다.

     

    1와트초는 1볼트의 전압을 1옴의 저항에 1초간 인가했을때 발생하는 일이다. 잘 몰라도 된다. 패스하자. 

    1줄은 궁금하면 찾아봐라. 이것도 지금은 안 중요하다.

    1칼로리는 1g의 물을 1도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일이다. 셋중에 이것만 알면 된다,.

     

    온도를 계산할때는 칼로리가 편리하므로 500w를 칼로리로 바꾸자.

    1 Ws  = 0.2388 cal이다

    500W = 119.4cal이다.

    즉, 500w의 전력을 소모했다면 119.4g의 물을 1도 상승시킬 수 있는 열량이 발생한다.

    여기까지 설명했으면 눈치챘겠지만 1000w의 파워서플라이던 500w의 파워서플라이던 500w를 사용했으면 열도 500w(119.4cal)만큼 발생한다.

     

    물론 몇가지 변수는 있다.

    파워 효율이 100%면 500w를 만들기 위해서 500w가 필요하다. 이때는 발생하는 열량은 119.4cal이다.

    파워 효율이 80%면 500w를 만들기 위해서 625w가 필요하다. 이때는 발생하는 열량은 149.25이다.

     

    한가지 더, 1000w 파워는 최대용량이 500w의 두배기 때문에 방열판이나 팬의 냉각능력이 최대치인 1000w를 염두해두고 설계됐다.

    발생하는 열량은 같지만 쿨링이 더 좋다면 온도가 비교적 낮을수 있다.

    (실제로는 그만큼 팬이 천천히 돌기 때문에 온도는 비슷하다. 소음이 적을뿐)

     

    하지만 1000w 파워서플라이로 500w를 사용하면 500w로 500w를 사용할때의 발열량의 절반이다?

    이건 물리법칙을 무시하는 개소리다.

    신고
    • 댓글이 21 개 달렸습니다.
    • 5년 전
      90%면 555.55555W가 필요할거같애 !! 
    • @11182처음에 90%로 했다가 무한소수 나와서 80%로 바꾼다고 해놓고 앞부분을 수정안함
      지금 수정함
    • 5년 전
      @여따이름써요근데 저딴말을 하는사람이 존재하긴함? 중졸도 안믿을듯
    • @11182ㅊㅎㅍ이라고 있는데 믿는 사람이 몇몇 있는듯
    • 5년 전
      @여따이름써요근데 궁금한게 있는데 500와트 85+ 600와트쯤 소모해서 500 뽑아낸다는뜻임 ? 아니면 500 * .85 뽑아낸다는뜻?
    • @11182효율에 상관없이 뽑아내는 용량이 파워용량임
      효율이 낮으면 같은 500을 만들기 위해서 소모하는 AC전력이 더 높지만 출력은 같음
    • 1000w 파워서플라이의 500w 사용시 효율이
      500w 파워서플라이의 500w 사용시 효율보다

      월등히 높음.

      대부분 파워들이 30~50%사용일때 최고효율을 보여줌.

      정확하게 500w 80 스탠 파워로 500w를 사용하게 된다면 ??? x 82% = 500  만큼의 소비전력이 들고, 그만큼 발열 생기겠지만,

      1000w 파워서플라이가 500w 80 스탠 일 경우 대부분 500w 지점에서 최고효율인 90퍼가 나와서 ??? x 90% = 500 만큼의 소비전력이 듬.

      정확한건 각 파워서플라이의 소비전력-효율 커브를 정확하게 살펴봐야겠지만, 대체적으로 이런 경향성이 있음.
    • @봄이예요효율로 인한 발열의 차이에 대해서는 언급함
      효율커브가 생기는 이유는 power factor를 배우면 알 수 있음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을 설명해야되는데 전기쪽 전공해도 한학기는 배워야 되는 내용이라 그냥 뺐음
    • 5년 전
      1000w 짜리나 티타늄 파워를 쓰는건 사용되는 부품들이 1000w 티타늄급을 유지하기 위해 좋은 부품을 쓰니까
      쓰는거지... 같은 온도에 노출돼도 훨씬 긴 수명을 보장하는 부품 하나 보고 쓰지 온도 타령하면 답없지....ㅋㅋ
    • @Looks용량이 크다고 부품의 질이 높은게 아니라 같은 부품으로 구성된 부분회로를 추가하면 용량도 커짐

      용량이 크다 = 부품이 고급이다(x)
      용량이 크다 = 부품이 더 들어간다(o)

      용량이 커도 부품의 질은 같을수도 있고 나쁠수도 있고 좋을 수도 있음. 질이랑은 상관없다는 얘기.
      부분회로를 더 만들기 위해 더 많이 필요할뿐
    • 5년 전
      @여따이름써요단순히 용량이 크다고 좋지는 않은건 당연하지만
      1000W나 티타늄 파워에 들어가는 재료는 대부분 더 좋은 부품이 들어감.

      대용량이나 티타늄 파워를 산다는 것 자체가 고급 부품을 기대하기 때문이고
      그래서 기판의 납땜부터 부품들의 제품명 까지 공개하는게 상급라인이지.

      그래서 용량이 크다 = 부품이 고급이다는 참이 아니지만
      용량이나 80인증이 높다 = 부품이 고급일 가능성이 높다 는 참이 된다는거지.

      질이랑은 상관없는게 아님.

      1000w나 티타늄급에 부품의 질이 낮은걸 누가 삼?
      최소한의 기대치에 부합해야 사는거고
      그 최소한의 기대치는 500w나 스탠다드의 부품보다
      더 좋다는건 당연한 거임.
    • @Looks더 좋은 부품이 들어있다는걸 직접 확인한거임?
      아니면 막연히 '제품이 비싼거니까 부품자체의 질도 더 좋겠지라고 추측(혹은 유튜버나 인터넷 뇌피셜을 신봉)'을 한거임?

      파워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가장 중요한 부품은 캐패시터인데
      캐패시터는 루비콘//니뽄케미콘/니치콘/산요/히타치/파나소닉 등 일본회사 제품의 품질이 우열을 가릴 수 없을정도로 비슷하게 높음.(파워에서 일본산 캐패시터를 강조하는 이유)
      이미 해당회사 제품을 쓰고 있다면 더 좋은 파워라고 품질을 더 높일수는 없음.
      같은 제조사 제품을 뜯어서 열어보면 500w나 1000w나 기판에 꼽혀있는 캐패시터의 datasheet 코드가 똑같다(같은 부품이다)는 사실을 알수 있음

      그런데 왜 비쌀까?
      질은 같더라도 더 많이 썼으니 당연히 비쌈
    • 5년 전
      @여따이름써요당연히 내부 까지 깐 자료를 보고 말하는 거겠지?
      그럼 제조사에서는 부품 질도 더 좋은거 쓰지 않으면서 단순히 부품이 좀 더 들어갔다고
      가격이 5배 이상 차이나도록 하는게 상식적으로 말이 된다고 생각함?

      캐패시터에서도 티타늄급과 스탠다드 브론즈급 상세 설명만 단순 비교해봐도
      상위급에서는 일본산 캐패시터 사용을 명시해두지만
      하급라인에서는 명시해 두지를 않음.

      님 말대로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하면 왜 강조를 안함?

      같은제조사 제품에 같은 부품을 쓰는데 500w와 1000w에서 부품수가 얼마나 차이나길래
      가격이 8배 차이가 남?

      커패시터 하나에 몇 만원씩 함? 500w에 들어간 커패시터랑 1000w 티타늄에 들어간
      커패시터 갯수가 몇 개 차이고 단가 차이가 얼마나 나면 
      시소닉 브론즈는 10만원 언더, 시소닉 티타늄은 40만원 오버가 됨?

      님이 전기적 소양이 있다는거 알겠으니
      시소닉 : 스탠다드~브론즈 500w 와 티타늄 1000w 커패시터는 같은 부품이고 갯수만 틀리다.

      확신할 수 있음?
    • 5년 전
      Seasonic Prime Titanium Fanless 600W - Nippon Chemi Con 105도 400V 390uF, 400V 450uF (840uF)
      Seasonic Prime Ultra Titanium 1000W - Hitachi HU Series 105
      SEASONIC FOCUS PLUS 750W PLATINUM - Nippon Chemi-Con  (105°C)

      시소닉 A12 스탠다드 700w - teapo 
      시소닉 브론즈 ssr-550w - teapo

      시소닉은 골드급 부터 일본제 커패시터라고 명시하는데 같은 제조사가 아니라서 다른거임?
    • @Looks본인이 본인의견을 스스로 반박하는 내용을 말하고 있는거 같은데

      캐패시터의 가격은 용량에 따라서 천차만별이지만 파워서플라이에 사용되는 400V 390uF의 단가는 몇천원 수준임

      본인이 언급한 Nippon Chemi Con 105도 400V 390uF는 10개에 5만원정도 함. 개당 5천원수준.
      https://www.ebay.com.au/itm/10pcs-Nippon-Chemi-Con-KMM-400v-390uf-35x35mm-electrolytic-Capacitor-105C/131458786652?hash=item1e9b8de55c

      그리고 시소닉 Prime Titanium Fanless 600W에 해당부품이 쓰였다고 했는데

      https://www.gigabyte.com/au/Power-Supply/Power-Supply#kf
      스크롤 내리다보면 중간에 나온 사진에 7만원대인 기가바이트 P650B에도 정확히 똑같은 캐패시터가 쓰임
    • 5년 전
      @여따이름써요더 좋은 부품이 들어있다는걸 직접 확인한거임?
      아니면 막연히 '제품이 비싼거니까 부품자체의 질도 더 좋겠지라고 추측(혹은 유튜버나 인터넷 뇌피셜을 신봉)'을 한거임?
      --
      이미 해당회사 제품을 쓰고 있다면 더 좋은 파워라고 품질을 더 높일수는 없음.
      같은 제조사 제품을 뜯어서 열어보면 500w나 1000w나 기판에 꼽혀있는 캐패시터의 datasheet 코드가 똑같다(같은 부품이다)는 사실을 알수 있음
      --

      님 주장 2개

      1. 더 좋은 제품 썼는지 확인해 봤냐?
      2. 같은 제조사면 500w나 1000w나 캐패시터는 동일하다. 갯수만 다를뿐

      내 주장

      1. 내부 부품 질에 차이가 있다.
      2. 같은 제조사에 부품 질이 같고 갯수만 다른데 가격정책이 어떻게 그렇게나 차이가 나느냐

      --

      내가 찾아온 자료 : 시소닉 골드급 이상 - 일본제 캐패시터 사용, 스탠,브론즈 - TEAPO 캐패시터

      누가봐도 내 말이 맞지 않음?

      같은 제조사 제품인데 급이 다른 캐패시터 사용된 이상 더 할말 없는거 아닌가여?

      시소닉이랑 긱바(긱바 제조, 시소닉oem인지 안봐서 모름) 은 다른 제조사인데
      같은 제조사를 얘기하다가 갑자기 왜 긱바에서 같은 캐패시터 사용했다는 말이 나옴?

      내 말은 같은 제조사에서도 급이 다른 제품에는 들어가는 부품의 질과 양이 다를 수 밖에 없다는거고
      님 말은 같은 제조사면 급이 달라도 질은 같지만 양이 다를 뿐이라고 하지 않았음?
    • @Looks내가 성급한일반화를 해서 시소닉처럼 해당이 안되는 회사도 있는건 인정함

      하지만 주요논점은 그게 아니라 
      "비싼 파워는 들어가는 부품의 질이 더 좋다"임
      7만원짜리 파워랑 30만원짜리 파워에 똑같은 캐패시터가 들어간다면 그 주장은 반박됨.
    • @여따이름써요'부품의질'이라는게 캐패시터 이외의 부품에는 해당 안하는거임?
    • 5년 전
      @여따이름써요fsp만 해도 저급라인에는 일제 커패시터 사용한다하지만 1차단에만 사용하거나 일부에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대만산을 넣는 경우가 많음. 고급라인에는 전체가 일제커패시터고.

      7만원 짜리 전체단에 일제 커패시터 사용한다면 그 제품이 대단히 신경쓴거고, 그외의 부품들에도 질이 다를 수 밖에 없음.

      7만원 짜리랑 30만원 짜리랑 단순히 생각해도 어떻게 부품 질이 같을 수 있음? 하다못해 섀시부터 고급라인에 더 신경쓰는게 사실인데.

      주요 논점은 저급 라인에도 좋은 커패시터를 사용 할 수 있지만 고급라인이 전체적인 부품 질이 좋은건 사실이라는 거임.

      1000w 티타늄급과 같은 질의 부품으로 500w를 만들 수는 있지만 동급 500W와 가격 경쟁이 될 수가 없음.

      바꿔말하면 1000w 티타늄급 부품 질을 가진 500w가 가격경쟁령이 있으면 그 제품이 싹쓸어 먹지 않겠음?

      500w급 스탠다드, 브론즈에 전부 일제 커패시터 사용하고 티타늄급 안전장치 가진 파워가 있음? 

      커패시터 같은 거 사용한다고 해서 7만원 짜리랑 30만원 짜리랑 부품 질이 같다고 할 수 있음? 커패시터만 같은 질이지.

      님 말이면 30만원짜리 파워는 거의 사기적인 폭리를 취하는 제품이란 말 아님?
    • @Looks막연하게 좋은부품이라고 하기전에 부품에 대해서 알아보는게 우선이라 생각함

      캐패시터는 두 금속판 사이에 유전체를 채운 구조인데 금속판의 단면적이 넓고 유천체의 유전률이 높을수록 용량(패럿,F)이 커짐
      금속'판'인데 왜 부품은 원통형인가?

      단면적을 최대로 하면서 부피는 줄이기 위해 두개의 얇은 금속판 사이에 유전체를 끼우고 이걸 동그랗게 말아서 원통형임
      일본은 기초과학이 발달한 나라이기 때문에 금속가공기술력도 상당히 높음
      알루미늄을 찢지 않으면서 종이보다 수십배 얇고 면이 균일하게 펼 수 있는 기술은 일본만있음
      이 얇은 알루미늄필름이 캐패시터에 사용됨
      그렇기 때문에 다른나라에서는 따라할 수가 없는거임

      파워서플라이에 사용되는 다른 주요부품에는
      AC를 직접받아서 내부 회로에서 다룰 수 있는 전압으로 낮춰주는 트랜스포머
      교류를 직류로 바꾸기 위한 정류회로에 필요한 다이오드
      모든 전자회로에 필수인 저항 등이 있음

      트랜스포머는 코어에 구리선을 감는 구조인데 딱히 상위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게 없음
      감은 구리선의 비율에 따라서 input 전압과 output전압이 정해지는게 전부임
      마찬가지로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고급이라는게 없음
      저항은 모든 전자부품중에 구조가 제일 단순함. 마찬가지로 고급이라고 할만한게 없음

      위에서 언급한 세가지 부품은 공학용계산기로 유명한 미국의 TI(Texas Instrument)라는 회사에서 거의 다 생산함

      굳이 이런걸 모르더라도 위댓글에서 언급한대로 고급 캐패시터가 겨우 5천원임(B2B는 더 쌈)
      5천원짜리 부품 1~2개 넣는다고 그렇게 생색을 내고 일제 캐패시터 마케팅을 하는데
      다른 부품이 조금이라도 좋았으면 광고에 기재하지 않았을까?
    • 5년 전
      글카에비해선 비슷비슷할거같긴하네요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컴퓨터
    | 스탭: 스톤콜드

    ※ 필독 ※ 컴퓨터게시판 규정 안내 (2025.02.16 수정) (5)스톤콜드 24.12.24추천 1
    와이고수 유저들을 위한 11월 표준견적.txt (35)스톤콜드 24.11.02추천 5
    신문고 (2)스톤콜드 24.12.24-
    🎉 미네랄 응모 이벤트, 더욱 강력하게 다시 시작됩니다! 🎉 (8) YGOSU 25.08.02-
    스톤콜드 관리자에 의해서 블라인드된 게시글입니다.이것은무엇인고3803:19-
    [질문] 조립컴터 부품값이 비싸면 조립비도 올라가나요? (2)음란마구니7125.08.02-
    [질문] 키캡 관련,,, 질문 (4) 계란김밥8225.07.31-
    컴퓨터 잘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제발! (8)얼짱이에요19925.07.25추천 1
    [정보] 인체공학 마우스 및 키보드. JPG (1) 갈리우스17025.07.24추천 1
    Rtx 5060ti vs rx9060 16gb 머가나을까요? (11)얼짱이에요18225.07.23-
    [견적] 게이밍으로 쓸만한지.. (3) 박카수엠디21225.07.22추천 1
    [견적] 이륙 허가가능할까요 형님들? (3) CCCz16825.07.21-
    컴퓨터 팔았는데 구매자한테 연락왔따...ㅠ (3)타나타노트22125.07.19-
    [견적] 형님들 견적 이륙해도 되겠습니까 (4) Clarity19925.07.17-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납니다..제발 도와주세요 (6)타나타노트15325.07.16-
    가만히 있는데 온도가 너무 높아요 (7) 타나타노트15225.07.15-
    [견적] 이것도 평가부탁드려요 (6) 현준강민16025.07.14-
    [견적] 이륙할까요? (1) 현준강민18125.07.13-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좀 드려봅니다.. (2) 하하호호히헤후18125.07.13-
    [견적] 컴퓨터 견적좀 짜주세요 와고 고수형들ㅠㅠ (2)춤추는고라파덕16625.07.13-
    a320 보드에 라이젠 5600 rtx2060 쓰는거 어떨까요 (1)타나타노트15125.07.12추천 1
    [질문] FXSOUND 프로그램에서 이 빨간색 표시한 장치를 제거하는 방법 있을까요? 음란마구니11225.07.11-
    [견적] 이거 이륙해도 댐??  (3) MD.범생21525.07.09추천 1
    [견적] 질문드립니다. 견적 (4) 짜냥이24725.07.07-
    [질문] 혹시 FXSOUND라는 프로그램 쓰시는분 계실까요? 질문이 있습니다 (2) 음란마구니12125.07.02-
    [견적] 이정도면 괜찮은가요? 견적문의 (3) 뻐네노17125.07.02-
    [질문] 온도도 체킇해봤습니다 51도 나옴 (7)이것은무엇인고16025.07.01-
    [견적] 견적 좀 봐주세요 (2) 저놉17525.07.01-
    카티아 솔리드웍스 사용하기엔 어떤 cpu가 괜찮을까요 (1)타나타노트13125.06.30-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