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방형홍진호mbti는 유사과학이 아니라 그냥 평균통계라고 생각함.
수많은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맞는 평균치의 인간 성격을 기술한거라고 난 생각해서,
생각보다 편할때도 많음.
'얜 이런 성향의 mbti니까 무조건 이렇게 생각할거야'가 아니라,
'이런 성향이 좀 있을수도있겠네?' 라고 어느정도 추측 가능하다는 거지.
실제로 살다보면 mbti의 긍정적인 면을 볼수도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충돌을 피하기 쉬워진다는거임.
예전같으면 "넌 대체 왜그래?"라고 할 법한 상황에서
"아 너 XXXX라서 그렇게 생각하는구나?"라는 대답이 나올 가능성이 커진다는데에 매우 큰 장점이 있다고 생각함.
물론 반대적인 면으로는 편견이 생기기 쉽다는게 아쉽지만.
그 부분은 그냥 인간의 지능차이라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