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게임개발쪽 질문이 많아서 나름 정리해서 써봄 : 꿀팁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0
게임 0
유물

실시간인기

게임개발쪽 질문이 많아서 나름 정리해서 써봄 [16]

Minerals : 261,912 / Level : 중사 중사
2015-04-23 13:40:27 (10년 전) / READ : 3653

    자고일어나니 실인게 가있네 감사감사

     

    쪽지나 댓글로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나름 정리해서 글로 씀.

     

    일단 난 20대 중반 지방대 게임관련 학과 졸업함.

    공모전 참가 경력만 있고, 수상 경력은 없음.

    그외 개인 프로젝트 다수.

     

    일단 게임개발을 생각 중이라면 어떻게 준비 할 지 보다 실상을 좀 알기를 바램.

     

    1. 게임을 만드는게 그렇게 즐겁지는 않다.

    게임 개발은 혼자하는게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가 기본으로 협력해야 하는 프로젝트임.

    여기에 PM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고, 쨋든 기본은 위의 세 포지션이 일반적이라고 보면 됨.

    일단 실무에서는 좀 덜하지만 학생이나 아마추어개발로 진행을 한다고 치면 기간이 긴 조별과제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듯.

    짧으면 몇달 길면 일년 이상의 "조별과제" = 발암.

    그러면 회사에서의 개발은 덜하지 않냐? 라고 물을 사람도 있겠지만 일단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윗세대는 꼰대가 많음. 그리고 개발자는 기획적인 부분에서 의견을 피력하는 부분이 약해질 수 밖에 없음.

    이 말은 곧 너네가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 기회는 없다는거임. 코딩하고 로직을 짜는게 재미있다면 게임보다 다른쪽 개발자를 알아보는걸 추천함.

     

    2. 연봉의 차이가 크다.

    흔히들 스타개발자만 알텐데 걔네는 0.1%라고 보면 될 듯?

    그리고 중소 개발사와 대기업축에 속하는 소위 N사들의 초봉 차이가 1000이상 나는 경우도 흔함

    그 말은 너네가 존잘이 아니면 깔아주는 축에 속할 수 밖에 없음.

    모바일로 시장이 넘어가면서 소규모 개발사들이 많이 생겼고 자본이 부실하기 때문에 초봉 2000대 초반 주는 회사도 많음.

    막 프로그래머 하면 돈 많이 벌거 같다는 환상은... 게임쪽에선 버리길

     

    3. 면접에서 야근 주말출근 물어보는 비율이 80%는 된다.

    면접보러 가면 알겠지만 대부분 일이 바쁠 땐 야근이나 주말출근도 할 수 있다. 가능한가? 라는 질문을 받는다.

    안하는 경우도 많지만 바쁠 땐 진짜 노예처럼 일한다.

     

    뭐 좋은 점도 있다.

    복장 문신 피어싱 염색에 상당히 자유로운점?

    보통 회사 분위기도 딱딱하지 않고 자유로움.

    다른 업계보다 출근 시간이 늦는 경우가 많음 (10-7이 많음).

    야근 시 늦게 출근해도 되는 제도 같은거도 있음.

     

    ------------------------------------------------------------------------------------------------------------------------------------------

     

    실상은 이쯤 하고 이제 어떻게 준비를 해야 막막한 애들을 위해서 씀.

    몇가지 경우가 있으니 나눠서 씀.

     

    1-1. 게임학과 재학이나 입학예정.

    이 경우가 제일 쉬움. 일단 게임학과에서도 프로그래밍 전공이라면 프로젝트를 접할 기회도 많고 

    커리큘럼에 프로젝트 진행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제작에 도움이 된다.

    다만, 학교에서 가르쳐주는 프로그래밍 만으로 취업 할려다 못하고 다시 학원 다니는 경우도 많이 봤었는데

    스스로 공부를 안하면 컴공쪽 애들보단 실력이 많이 떨어질 수 있다. 항상 공부하고 구글링해라.

    프로젝트 경험 + 기초탄탄 이면 취업음 문제 없다.

     

    1-2. 컴공 재학이나 입학예정.

    이 경우도 크게 어렵진 않다. 다만 게임쪽 개발자를 뽑을 땐 바로 실무에 투입 가능한 인원을 뽑는 경우가 많아서

    일반 프로그램 포트폴리오는 무쓸모하다. 게임쪽 포트폴리오를 따로 준비 해야 한다.

    주위에 디자이너나 기획자가 없는 경우가 많을테니 팀 단위로 진행은 다소 어렵다고 보고

    DirectX나 OpenGL을 공부해서 3D 엔진이나 렌더링쪽만 깊게 파면서 포트폴리오 만들면 취업이 어렵진 않을거다.

    근데 요즘엔 상용엔진을 쓰는 회사가 많으니 위의 공부 +a로 상용엔진(유니티,언리얼, 코코스2디 등)을 공부하면 더 좋다.

     

    1-3. 난 아무것도 몰라요.

    음.. 운동은 안해봤는데 축구선수가 하고싶어요. 라고 하는거랑 비슷하다.

    컴공은 기초적인 프로그래밍을 배우지만 이 경우는 독학이나 학원을 가야 한다.

    하지만 학원은 가격대비 효율이 매우 좋지 않으므로 c++을 독학으로 시작해라.

    그리고 이게 독학이 안되고 어렵다. 라고 느낀다면... 솔직히 말하자면 빠른 포기가 나을 수도 있다.

    기초적인 부분에서 막힌다면 나중에 계속 새로운 기술을 익히는데 어려움이 있다.

    프로그래머로서 자질이 어느정도 없다고 봐도 무방할거 같으니 다른 길을 알아보길 바란다.

    독학 이후엔 컴공 테크랑 비슷하게 타라. 다만 전산,컴공 쪽 대학 졸업자가 가산점을 받는건 어쩔 수 없다. 더 열심히 해라.


    1-4. 공통.

    각 경우마다 준비하는 방법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해야 할 게 있다.

    알고리즘, 디자인패턴 같은 경우는 필수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상용엔진을 활용한 프로젝트는 있으면 매우 좋다.

    또 자신감을 좀 가지는게 좋다. 

    대부분 회사가 그렇겠지만 말 어눌하게 하고 자신감 없는 사람은 싫어한다.

     

    2. 프로젝트는 어떻게?

    인원을 모으는건 그건 개인역량이니 어쩔 수 없다.

    개발 프로세스는 보통 짧게 줄이면 이런식으로 진행이 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시스템, 컨셉 기획 초안 -> 테크니컬리스트업, 아트컨셉 -> 기획 다듬으며 프로토타입 개발

     

    기획자가 있다면 좋겠지만 없는 경우도 많다. 

    만약 스스로 실력에 자신이 있다면 게기모 같은 카페에서 기획자 지망하는 사람을 물어서

    팀프로젝트를 제안 해보는 것도 좋다.

    이것도 어디까지나 개인역량이다. 

     

    디자이너가 없는 경우가 제일 난감한데.

    구글에서 검색 해보면 3디 모델이나 2디리소스 무료로 배포하는 것들이 있다.

    다소 퀄이 떨어지더라도 프로그래머 포폴에서 디자인을 중시해서 보진 않는다.

    기술적인 부분이 중점이고 다만 첫인상이 디자인이 좋으면 좀 더 좋아보이긴 한다.

     

    이런 경우 때문에 게임학과쪽은 프로젝트가 쉽다고 한거다.

    보통 기획, 디자인, 프로그래밍 세 파트로 나눠서 인원이 있기 때문에

    적당히 잘 해 보이는 애 잡아다 프로젝트를 진행 해라.


    솔직히 해본사람과 안해본사람의 차이가 크다. 이건 해봐야 아는 부분이라 꼭 해보길 바란다.

     

    3. 자격증? 공모전? 필요한가?

    프로젝트만 어느정도 하고 포트폴리오만 알차면 필요없다.

    특히 게임개발 자격증은 하나 있는데 그거 아무도 따지도 않고 물어보지도 않는다.

    컴활 이런거 들이대면서 자격증이라 그러면 혼난다. 참고해라.

     

    공모전은 내면 좋고 안내도 크게 무방하다.

    포트폴리오로 어차피 프로젝트를 진행 한다면 그 결과물로 제출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일단 지금까지 들었던 질문 위주로 글을 썻고

    더 질문 할 거 있으면 쪽지로 남겨줘라.

    시간 남으면 2탄 쓰겠다.

    신고
    • 댓글이 16 개 달렸습니다.
    • 10년 전
      (신입 기준) 공모전은 곧 좋은 포트폴리오가 된다.
      왠만하면 참여하는 것이 좋다. 게임 개발자로 갈꺼면 인디 게임공모전은 한 번 이상 참여해보는 것이 좋으며, 수상 경력이 있으면 금상첨화다.
      참고로 나도 대학생때 인디 게임공모전 은상받고, 졸업하자마자 넥슨갔었다. 
      4년 동안 야근끼고 일하다보니 몸 다 망가져서 지금은 게임개발 안한다.
    • @OPqqqq공모전 수상이 좋은 포폴이 되긴함. 근데 게임쪽 공모전이 그렇게 많은거도 아니고 굳이 목멜 필요가 없단 이야기였음.
    • 10년 전
      @게임개발노예목멜 필요는 없는데, 게임개발자 할꺼면 인디 게임 공모전 정도는 참여할 가치는 있다고 봄
      굳이 수상 못해도 참여했던 것 자체로도 신입 면접때 정말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음
      근데 뭐 아무리 말해봤자  이미 자기가 좋아하는 거 찾아서 하는 사람들은 알아서 모여서 경험을 쌓을거라  생각합니다요
    • 10년 전
      @OPqqqq넥슨도 빡세구나 ㄷㄷ... 
    • 10년 전
      @마영전넥슨을 어느정도 수준으로보길래 넥슨'도'빡세구나 라는 말이나오는지 ㅋㅋ 국내 게임회사 원탑인데
    • 10년 전
      @해적님뭔개소리야 넥슨이란 큰회사도 빡세다는의미인데
    • 10년 전
      @마영전말이 앞뒤가 안맞자나 ~도 라고하려면 그거보다 이하로 보고있었다는뜻인데 넥슨도 빡세구나 의 뉘앙스는 넥슨 좆밥인줄알았는데 웰케빡세 의 느낌인데? 니 의도를 제대로 표현하려면 넥슨도 역시 빡세구나 이렇게 써야 맞는거같은데 내가 난독임?
    • 10년 전
      @해적님아니  지가 지맘대로 해석해놓고 나한테 따지네 븅신년이
    • 10년 전
      @OPqqqq게임 개발 안하면 어느쪽으로 갔나요?
      게임 개발 하다가 다른걸로 갈아탔는데 할만 한가요??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게임공학과 어떤가요??
    • 10년 전
      나도 공모전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작년까지 팀장 및 pm까지 했었는데..
      면접 볼때 신입은 우선으로 봤던게 
      이자식이 얼마나 노력했냐를 봤다.
      공모전 나가서 수상 안해도 되는데
      팀 프로젝트 경험이 얼마나 있나. 맡은일을 얼마나 수행했나. 얼마나 노력을 하면서 살았나를 봤다.
      그리고 프로그램 기획 디자이너 다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는 틀리다.
    • 10년 전
      아 그리고 글쓴이 내 학교 후배일수도 있겄네
      형 04고 지방대 h 출신이다.
      그리고 넥슨 엔씨 네이버를 가고 싶어하는 얘들은 서울대 카이스트 갈 생각해라. 
      아니면 평생 라인 못타고 40넘으면 쫒겨난다...
    • 프로그래밍이 뭔지도 모르고 공부(특히 수학)도 못하는 애들이
      겜만하다가 왠지 재밌을꺼같아서 게임 프로그래밍 하겠다고 달려들지 않았으면
    • 10년 전
      케쉬파는것도 게임개발 인가여?
    • 산기대냐
    • 10년 전
      게임 개발쪽은 입사하려는 회사 게임을 얼마나 했는지도 본다는데 맞나요??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공지사항 🎉 미네랄 와토 베타 테스트 게시판 오픈 안내 (16) YGOSU 25.06.18-
    통신연체 통신불량 통신연체 통신불량 신용이 안좋은분 인터넷티비설치 가능합니다 다뇐다61622.10.21
    [인더파우치] 여자가 설레는 콘돔 50% 핫딜모음 6000원인더파우치75122.10.20
    해뜨온 거산 노랑밤 햇고구마 10kg (못난이) 31,300원 빵이7766722.10.20
    치과 진료비 할인받는 꿀팁노스노펙65322.10.20
    갤럭시 워치5 골마켓 단독특가 (~10.23)기가마키네56122.10.20
    [인더파우치] 청춘남녀들이 선택 촉촉한콘돔 오늘특가 4700원 인더파우치55022.10.20
    통신연체 통신불량 신용이 안좋은분 인터넷티비설치 가능합니다 다뇐다53422.10.20
    [쓱페이] 페이코인 스페셜 이벤트 탐앤탐쟈79622.10.19
    [이야기모바일] 선불요금제 가입시 매달 왓챠, 지니 30일 구독쿠폰 오스틴81322.10.19
    [인더파우치] 남자를 아는 여자들의 선택! 촉촉콘돔세트 10800원 인더파우치54022.10.19
    저처럼 진짜 갈길없이 원치않은 임신때문에  방황하던 여성들에게  알려드리는 팁 아이러뷴54522.10.19
    통신연체 통신불량 신용이 안좋은분 인터넷티비설치 가능합니다 다뇐다45622.10.19
    워치5 프로 14만원할인+3종사은품 (~10.21까지) lache249422.10.19
    [인더파우치] 내돈내산 여대생들에게 가장인기 있는 사가미콘돔 할인코드15500원 인더파우치42722.10.18
    전자파 없는 전기메트는? 탄소매트 원숭이22250822.10.18
    경상북도 숙박대전 최대 3만원 할인쿠폰 (~10/28) 니가가라대만44922.10.18
    마켓경기) 경기도농수산진흥원 기름없이 튀겨낸 하루한줌 콩 12g x 33봉 12,408 빵이7739122.10.18
    [롯데온] 풀무원 얇은피 만두 8봉 골라담기 + 만두 2봉 더 19,980원 (무배) 고구마팔아요38422.10.18
    [인더파우치] 여대에서 가장 인기 많은 콘돔 BEST 핫세일 3500원 인더파우치42122.10.18
    네이버카페 골마켓 할인행사기가마키네41422.10.18
    통신연체 통신불량 신용이 안좋은분 인터넷티비설치 가능합니다 다뇐다35522.10.18
    NHN커머스 사용자 맞춤 네이버 디스플레이 무료교육 술안주쟁이43922.10.17
    마켓경기) 잔다리 HACCP 콩을 통째로 갈아넣은 국산콩 전두부 310g x 4모 9,40 빵이7747722.10.17
    [인더파우치] 베이글 여성이 원하는 커플용품 할인모음 젤타입콘돔인더파우치49722.10.17
    [지마켓] [옥션] 컬쳐랜드 문화상품권 5만원권 7% 할인 / 3만원권 7% 할인 고구마팔아요45122.10.17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