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물의 단열율이 떨어질 경우.
아무리 보일러가 돌아가도 바로 식는다면
보일러는 집이 식은만큼 계속 돌아가겠죠
단열이 잘 됐다면 그시간 보일러는
멈춰있었겠죠.
아파트는 그나마 낫지만 오래된 빌라는 난방
속도보다 식는 속도가 빠릅니다
- 뽁뽁이.스치로폼 붙이면 효과 있습니다
2. 온수 사용량 많을 경우.
낮은 온도로 놓고 쓰세요~
높은 온도에 놓고 찬물을 섞어쓰시면
가스비가 많이 나옵니다
수압이 세거나 분당 나오는 양이 많으면
가스비 많이 나옵니다
3. 보일러 열교환기 노후.
물이 샌적이 있거나 연통 위치가 불량일때
고드름 낙하로 연통이 찌그러졌을때
열교환기가 급 노화 됩니다.
아래 사진은 좀 심한 집이구요 ㅎ
저런경우 가스비 많이 나옵니다.
이때 연도, 즉 연통 온도를 재보면
40~100℃ 이상 나오져.
정상인경우 손으로 만질수 있지만
저런경우는 화상 입습니다
열교환기 분해 청소 및
열화상 열효율 측정
: 010-9111-4050 으로 연락 주세요.
남양주에서 30분 거리만 해드립니다
4. 아랫집 윗집에서 난방 잘 안할때.
특히 윗집에서 많이 때야 우리집 가스비가
적게 나옵니다.
반대로 우리집이 난방을 많이하면
아랫집은 난방비 덜 나오져ㅎ
아랫집과 윗집 사이의 단열률이 낮아서 그렇습니다
* 철(1% 탄소 함유) = 37. 가장 단열률이 낮음
* 대리석 = 2.4
* 석고보드 (짚섬) = 0.14
* 석고보드 (퍼라이트) = 0.15
* 유리섬유 = 0.03
* 유리 = 0.9
* 벽돌 (외부용) = 0.7
* 벽돌 (내부용) = 0.5
* 목재 = 0.1
* 스티로폼 종류 단열재 = 0.03
* 공기 = 0.02 . 가장 단열률이 높음
Tip: 11월 첫 추위 다른집이 난방 시작할때쯤
일주일정도 난방 하지 마시고 참아보세요ㅎ
윗집 아랫집 열기가 우리집까지 도달 될때까지
기다리시면 윗집에서 난방 많이하는 집일경우
효과 많이 보실수 있습니다. 먼저 난방 시작했던 집이 1년내내 가스비 많이 나옵니다. 도미노 현상
이상하게 다른집하고 가스비는 똑같이 내는데 추우시죠? 윗집이 난방 잘 안해서 그렇습니다
5. 설정온도를 낮게 놓고 은은하게 오래 땔때보다
땔때 확 때고 안땔데 끄는게 더 절약됩니다.
집이 차가운데 절약타이머나 예약에 놓을경우
가스비 많이 나옵니다
6.거의 없지만 의사염일경우 많이 나옵니다. 의사염은 불은 안붙었는데 보일러에서는 붙었다 인식해서 생 가스가 연통으로 그냥 나가는것을 말합니다
근데 이런경우 거의 없습니다
저도 12년동안 1번 봤습니다. 기계 고장입니다
7. 빠져나가는 열 관리도 중요합니다.
열화상 카메라로 보니 커튼 친 곳이 안 친 곳보다 4도 정도 높습니다.
따라서 밖에 해가 비칠 땐 커튼을 열어서 열을 받아들이고 평소에는 커튼을 닫아 단열 효과를 낸다면 전체 난방에너지의 15%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뽁뽁이나 문풍지도 효과가 크죠~
평상시 난방 온도는 17℃ 권장 합니다
근데 좀 춥죠
8. 안쓰는 방 분배기는 잠그세요~
중앙난방은 잠그는거나 안잠그는거나 무관하지만 개별난방은 잠글수록 절약됩니다
분배기는 방하나 이상은 무조건 다 여셔야 하구요
대각선으로 놓을때도 많이 쓰는방 두세개는 다 여셔야 합니다
9. 바닥에 매트 깔면 추우면서 가스비 많이 나와요~ 왜냐면 울집이 아무리 난방을 많이해도
열기는 대부분 아랫집으로 간답니다
매트가 단열재 역할을해서 열을 차단합니다
10. 보일러실 온도가 추우면 실온이 아닌 온돌 기능설정시 보일러가 자주 돌아갑니다
11. 집 구조가 서향~남향~동향 순서로
가스비 많이 나옵니다
겨울철 남향보다 서향이 2시~5시
더 많은 햇빛이 들어옵니다
추가. 전기세.
-한국은 전기세가 누진세가 있습니다. 월 100kw단위로 전기세가 비싸지며, 300kw를 초과하게되면 누진
1단계부터 적용되어 최대 3단계까지 붙게 됩니다. 약 500kw를 넘는 순간부터는 어떠한 연료보다도 비싼
연료가 되는것이 가정용전기이므로 500kw를 초과할경우에는 전기사용을 극히 제한되게 사용하셔야 합
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