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그그럼 너랑은 더 말해도 소용 없을듯;; 내가 대입했고 니가 그렇게 생각 했으면 니생각대로 계속 생각해
내가 애공이도 아니고 너랑 싸워서 널 설득할 필요가 없잖아
그리고 설명해 주자면 a라는 사람이 있어 이사람이 평소 행실이 엄청 안좋아 그래서 사람들이 안좋게 보고 있어
그래서 사람들 간에 분쟁이 발생했을떄 만약에 A라는 사람이 했다면 어땟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보자
분쟁도 예를 들어 보면 c하고 b라는 c보다 나이 많은 사람이 싸웠어 근데 서로 말이 다른거야 c는 b가 잘못했다 그러고 b는 c가 잘못했다 그러고 그러면 그때 a라는 평소 행실 안좋았던 애가 욕을 했다면 어떗을까 라고 가정 하는거야
그럼 사람들 의견이 바뀌겠지? 댓글로 설명하려니 힘들어서 제대로 전달 됐을지 모르겠지만 IF 홍구법이 그런거야
분쟁이 일어났을때 만약에 그 분쟁의 대상이 홍구라면 사람들은 어떻게 받아 드릴까
근데 여기서 니가 그렇게 받아 드렸다면 아 그렇구나 하는데 내가 댓글을 쓴 이유는
니가 홍구 싫어 하는 사람은 까는데 아니면 안깜 여기서 나는 첫번째 물음표가 떴고
스타 비제이 원래 정치질 안함 여기서 두번째 물음표가 뜬거야
홍구를 좋아 하는 사람 뺴곤 홍구의 사건들로 홍구를 좋게 보지 않겠지?
그럼 사건을 받아드리는 게 다를거 아냐 맞지?
거기다 가정법이란 그렇게 했을거라는 가정하에 하는건데 원래 안함 이래버리면 이게 가정이 되겠어?
안되겠지?? 이제 이해가 좀 가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