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in your browser to load website properly.

Click here if you'd like to learn how. 獨 언론, 얼음공주 박근혜, 도살자 박정희 딸 : 정치/이슈 - 와이고수
기록실
채팅 1
게임 0
유물

獨 언론, 얼음공주 박근혜, 도살자 박정희 딸 [3]

Minerals : 579,745 / Level : 중위 중위
2014-04-25 08:07:47 (11년 전) / READ : 1185

    獨 언론, 얼음공주 박근혜, 도살자 박정희 딸
    -세월호 유가족 만나면서도 감정의 동요 없어
    -청와대 박근혜, 평범한 시민의 삶 짐작도 못해

    ‘얼음처럼 차가운 독재자의 딸’, 독일의 한 언론이 뽑은 기사 제목이다. 세월호 침몰 사고로 온 나라가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는 와중에 진도 실내체육관을 방문해 한 올의 감정 동요도 없이 가족들을 대하는 박근혜를 표현한 제목이다. 그리고 이 기사는 나아가 박근혜의 이런 차가운 감정의 배경을 소개하며 박근혜의 아버지 박정희를 ‘도살자’로 표현하기까지 했다. 이제 대한민국의 첫 번째 여성대통령에 대한 호감어린 시선이 외신으로부터 거두어지고 있다.

    세월호 참사는 국민들의 마음을 박근혜로부터 거두어 가버린 것 뿐 아니라 외신들로부터도 호감을 거두어가게 했다. 세월호 참사는 한국 언론과 박근혜의 밀월관계는 걷어내지 못했지만 적어도 외신과 박근혜의 호감어린 시각만큼은 교정해 냉정한 눈으로 박근혜와 그 정권을 바라보게 하고 있다.

    독일의 프랑크푸르터 룬트샤우 (Frankfurter Rundschau)는 지난 22일 ‘SÜDKORE Unterkühlte Diktatoren-Tochter-한국 얼음처럼 차가운 독재자의 딸’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를 맞아서도 전혀 감정을 내보이지 않는 박근혜를 조명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인나 하아트비흐 (INNA HARTWICH) 기자가 쓴 이 기사는 ‘한국 연안에서의 여객선 참사 후에도 한국 박근혜 대통령은 슬픔에 잠긴 가족들에 대해 거의 감정을 보이지 않고 “얼음공주”인 채로 있다’며 ‘그녀는 아픔을 공감한다고 말하지만 아주 냉정하게 말해서 그 사건과 그녀 자신은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진도 실내 체육관 방문시의 풍경을 묘사했다. 이 기사는 ‘서울의 고상한 “청와대”에서 살아온 얼음처럼 차가운 박근혜는 평범한 시민들의 삶이 무엇인지 전혀 짐작하지도 못한다고들 말한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대담하게도 ‘Das Mädchen des Schlächters-도살자의 딸’이라는 중간 제목으로 박근혜 아버지인 박정희를 도살자로 규정했다. 이 기사는 박근혜가 자신 가족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박정희의 잔혹한 행위들이 오늘날까지도 기억되고 있고 박근혜는 나이가 들었어도 여전히 도살자의 어린 딸이라고 보도했다. 어머니의 죽음, 청와대 퍼스트 레이디 생활, 아버지 박정희의 죽음 등을 돌아본 이 기사는 ‘2013년 이후 그녀는 국가 수장의 직을 수행하고 있고 경제민주화와 사회복지 개선이라는 선거공약을 지키려는 시도에서 발을 헛디디고 있다’며 여객선 참사로 인한 슬픔이 분노의 표출과 함께 시위로 전환될 수 있지만 박근혜는 그런 것쯤은 안중에 없다는 듯 여전히 얼음처럼 차갑다‘고 기사를 마무리했다.

    Frankfurter Rundschau는 1945년에 설립된 언론으로 현재는 온라인으로 뉴스를 제공하고 있는 독일언론이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전하는 Frankfurter Rundschau의 기사 전문 번역이다.

    번역 및 감수: 임옥

    기사바로가기☞ http://bit.ly/1jId3wB

    SÜDKOREA
    Unterkühlte Diktatoren-Tochter

    한국
    얼음처럼 차가운 독재자의 딸

    Von INNA HARTWICH

    인나 하아트비흐

    fr_0422_2014

    „Eisprinzessin“ nennen die Südkoreaner ihre Präsidentin. Foto: REUTERS
    한국인들은 대통령을 “얼음공주” 라고 부른다. 사진: 로이터

    Auch nach dem Fährunglück vor der Küste ihres Landes zeigt die südkoreanische Präsidentin Park Geun Hye kaum Emotionen gegenüber den trauernden Angehörigen. Sie bleibt die “Eisprinzessin”.

    한국 연안에서의 여객선 참사후에도 한국 박근혜 대통령은 슬픔에 잠긴 가족들에 대해 거의 감정을 보이지 않는다. 박 대통령은 “얼음공주”인 채로 있다.

    Selbst bei der Beileidsbekundung kommt keine Regung. Da steht sie, die Präsidentin, in der schnöden Sporthalle auf der südkoreanischen Insel Jindo, wo die Angehörigen auf Neuigkeiten von der gesunkenen „Sewol“ warten, auf die Todesnachrichten ihrer Töchter und Söhne, gerade einmal 16 und 17 Jahre alt.

    유감을 말하면서도 감정의 동요는 없다. 침몰한 “세월호”로부터의 소식, 겨우 16, 17세의 아들, 딸들의 죽음의 소식을 가족들이 기다리고 있는 한국 진도의 참담한 실내체육관에 대통령은 그렇게 감정의 동요 없이 서 있다.

    Sie bekundet ihre Anteilnahme und tut das so kühl, dass sie nicht am Geschehen teilzunehmen scheint. Keine spontane Empörung, kein tiefes Mitleid, Park Geun Hye bleibt die „Eisprinzessin“. Immer wieder werfen die Südkoreaner ihr vor, keine Gefühle zu haben. Die Unterkühlte aus dem„Blauen Haus“, dem schicken Präsidentenpalast in Seoul, sei sie, eine, die keine Ahnung vom Leben des einfachen Volkes habe.

    그녀는 아픔을 공감한다고 말하지만 하도 냉정하게 말을 해서 그 사건과 그녀 자신은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즉흥적인 분노나 깊은 연민을 보여줌이 없이 박근혜는 “얼음공주”의 모습으로 있을 뿐이다. 한국인들은 그녀가 감정이 없다고 반복적으로 비난한다. 서울의 고상한 “청와대”에서 살아온 얼음처럼 차가운 그녀는 평범한 시민들의 삶이 무엇인지 전혀 짐작하지도 못한다고들 말한다.

    Das Mädchen des Schlächters

    도살자의 딸

    Die „Tochter des Generals“ hat stets Misstrauen geerntet. Die 62-Jährige, seit 14 Monaten als erste Frau auf dem Präsidentenstuhl in Südkorea, wird die Schatten ihrer Familie nicht los. Die Untaten ihres Vaters Park Chung Hee, der das Land nach einem Militärputsch von 1961 an diktatorisch regierte, greifen bis in die heutige Zeit hinein.

    “장군의 딸”은 항상 불신을 가지고 살아왔다. 한국의 첫번 째 여성 대통령이 된지 14개월이 된 이 62세의 대통령은 자신 가족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61년 군사 쿠테타 이후 독재로 국가를 통치했던 아버지 박정희의 잔혹한 행위들이 오늘날까지도 기억된다.

    Park bleibt das Mädchen des Schlächters, auch im Alter, das Kind eines Mannes, den manche in Südkorea, vor allem die Älteren, in guter Erinnerung behalten haben, weil er ihr armes Land um jeden Preis durch eine beeindruckende wirtschaftliche Entwicklung gejagt hatte. Sie bleibt aber auch das Schreckgespenst für all die, die ihre Entschuldigungen für die Machenschaften ihres Vaters schon immer für reine Wahlkampftaktik hielten.

    박근혜는 나이가 들었어도 여전히 도살자의 어린 딸이며, 가난한 나라를 온갖 수단을 동원해 대단한 경제 발전으로 이끌었기 때문에 한국에서 대부분 노년층의 많은 사람들에게는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는 사람의 어린 아이이다. 하지만 그녀가 아버지의 부정한 행위에 대해 사과한 것을 단지 순수한 선거캠페인의 전략으로만 보았던 많은 사람들에게는 그녀는 그저 악몽이다.

    Als ihr Vater sich an die Macht putschte, war Park elf Jahre alt. Sie genoss von da an eine unbeschwerte, wenn auch eine abgeschottete Kindheit – bis ihre Mutter Yuk Yong Soo 1974 bei einem Attentat, das ihrem selbstherrlich regierenden Vater galt, umkam. Mit 22 Jahren übernahm sie, die Elektrotechnik in Grenoble studierte, die Rolle der First Lady. Fünf Jahre später stand sie wieder am Grab. Der eigene Geheimdienstchef hatte ihren Vater erschossen. Park Geun Hye zog sich daraufhin aus der Öffentlichkeit zurück.

    아버지가 권력을 잡기위해 군사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박근혜는 11살이었다. 그 때로부터 그녀는 독재자인 자신의 아버지를 향한 암살 시도에 어머니 육영수가 사망한 1974년까지 격리되긴 했지만 아무런 근심 없는 유년시절을 즐겼다. 그레노블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하던 그녀는 22살의 나이로 퍼스트레이디의 역할을 맡게 됐다. 오년 후 그녀는 다시 무덤 앞에 서게 됐다. 증앙정보부 수장이 아버지를 총으로 쏘았다. 그 이후로 박근혜는 공인의 생활을 떠났다.

    Sie wollte nie in die Politik

    그녀는 정치에 영영 발딛고 싶지 않았다

    In die Politik gehen wollte sie nie – und tat es doch. Seit 1998 sitzt sie in der südkoreanischen Nationalversammlung, 2004 wurde sie Vorsitzende der konservativen Grand National Party, die mittlerweile Saenuri heißt. Auf einer Wahlkampfveranstaltung zwei Jahre später hatte sie ein Mann mit einem Teppichmesser im Gesicht verletzt, Menschenansammlungen meidet die ledige und kinderlose Frau. Zwei Mal wagte sie den Weg zurück ins „Blaue Haus“, nicht als Tochter, sondern als Politikerin.

    그녀는 정치에 영영 발을 들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는 정계로 나갔다. 1998년 이래로 그녀는 한국의 국회의원이고 2004년에는 지금은 새누리로 불리우는 보수 한나라당의 대표가 됐다. 이년 후 선거캠페인중 그녀는 한 남자에게 얼굴을 칼로 찔려 다쳤고, 미혼이고 아이도 없는 그녀는 군중을 피한다. 딸로서가 아니라 정치인으로서 그녀는 두 번 “청와대”로 돌아갈려는 엄두를 냈다.

    Seit 2013 ist sie im höchsten Amt und stolpert seitdem bei den Versuchen, ihre Wahlkampfversprechen von demokratischer Wirtschaft und besseren Sozialdiensten einzuhalten. Die Trauerbekundungen für die mehr als 100 Toten der Fährkatastrophe könnten sich in Proteste umwandeln. In Wutausbrüche auch gegen Park. Die Präsidentin aber bleibt unterkühlt, als ginge sie das nichts an.

    2013년 이후 그녀는 국가 수장의 직을 수행하고 있고 경제민주화와 사회복지 개선이라는 선거공약을 지키려는 시도에서 발을 헛디디고 있다. 여객선 참사에서 있었던 백여명의 사망에 대한 슬픔은 시위로 전환될 수 있다. 박근혜에 대한 분노의 표출과 함께. 대통령은 그런 것쯤은 안중에 없다는 듯 여전히 얼음처럼 차갑다.

    신고
    • 댓글이 3 개 달렸습니다.
    글목록 이전글 다음글
    글쓰기


    공지사항 🎉 미네랄 와토 베타 테스트 게시판 오픈 안내 (16) YGOSU 25.06.18-
    ㄹㅇ 무턱대고 우리나라 정부 대통령만  까대는애들특징 (20)만치니88614.04.30추천 4
    CNN, 세월호 마지막 영상 방영, 온 세계가 충격 (1) light798814.04.30추천 2
    진심 선동하는애들  (8)만치니84214.04.30추천 4
    세월호선장 또 조선일보에게 두들겨 맞네요.. 왜? (2)박예쁨115714.04.30-
    우리나라에 대통령감이있다고봄? (9)ㅇㄴㄻㄴㅇㄹ86114.04.30-
    다들 정치 몇살때부터 관심가지심?(얼굴가림) (11) 바른생활96614.04.30추천 3
    내가 이런거 잘모르긴한데 박근혜 (5)Accepted74014.04.29추천 3
    아베총리 세월호 침몰 사망자 조문. (5) 만치니98514.04.29추천 4
    "세월호 진짜 살인범은 따로 있었다" (7)박예쁨106914.04.29추천 1
    뉴욕타임스, 박근혜 대통령이면 안되는 이유 靑 게시판 보도 (2) light7135814.04.29추천 8
    WSJ, 유우성씨 무죄 판결 상세보도 (1) light7101714.04.29추천 2
    희생자 가족 당국에 맞서 light7114614.04.28추천 3
    양욱 “다이빙벨 만능 아냐. 주변에서 현장 흔들지 말아야” (3) 국가안보118314.04.28추천 4
    국방부 “조류를 이길 수 있는 장비 없어” 이종인 해명은? 국가안보112314.04.28추천 3
    간첩 피고인 유우성이 애국심? ‘죽은 소가 웃을 일’ (4) 국가안보92014.04.28추천 1
    YS차남 김현철 “朴 대통령, 군림이 몸에 배서···”박예쁨97814.04.28추천 4
    일베충이 보면 뜨끔하는 만화.jpg (19) Dexter1519314.04.28추천 66
    美 NBC, 세월호 침몰 당시 학생이 찍은 사진 보도 light7120614.04.28추천 1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편, 시청자 반향에 전격 재방 결정 (3) 만치니436314.04.27추천 16
    다시 보는 역대급 재난사고.jpg (2) 만치니185314.04.27추천 6
    근데 단원고는 (3)헨델이그랬대140814.04.27추천 2
    속보: 해경, 마침내 민간잠수회사 구조작업 허용 (1) light7102814.04.27추천 2
    [세월호] 앉아서 기다리면 떼죽음뿐입니다! (1)박예쁨85514.04.27추천 1
    야 국가안보 왜 안보임? (3)바른생활73714.04.27추천 2
    주독한국문화원 입장 글에 대한 정옥희기자의 답light778614.04.27-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