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지구촌] 일본의 대표적인 우익언론인 산케이 신문이 우리 정부의 발표가 사실일 경우 북한의 잠수정 운용 능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20일 천안함 침몰 원인의 한국정부 발표 소식을 전하며 ‘상상을 뛰어넘는 북한의 뇌격 능력(想定を超えた北の雷?能力)’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여기서 신문은 “사고 현장은 수심이 40~45m. 이렇게 얕은 바다에서 잠수함 작전 행동은 곤란하다. (따라서) 소형잠수함이나 잠수정이 발사모체가 된다”며 “북한이 보유한 소형잠수함(상어급)은 무리를 하면 (한국정부) 발표와 같은 사이즈(250kg 규모의 CHT-02D-기자 주)의 중어뢰를 장착할 순 있지만, 이런 수심에서 어뢰 발사는바늘 구멍에 실을 통과시키는 것보다 어렵다”고 주장했다.
20일 민간 합동조사단의 발표에 따르면 북한의 연어급 잠수정(130t급)이 천안함에 어뢰를 발사했다. 국내에서도 국방부 민·군 합동조사단의 발표 직후 130t급에 불과한 연어급 잠수정이 1.7t의 중어뢰를 정확하게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발사하기는 힘들다는 일각의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산케이가 언급한 상어급 소형잠수함은 300t급이다. 산케이는 연어급 잠수정을 상어급 잠수함으로 착각한 것으로 보인다.
산케이는 이어 “어뢰는 수심 6~9m에서 폭발했기 때문에 어뢰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은 31~39m에 불과했다”며 “세계 최고의 기량을 자랑하는 해상자위대 잠수함 조차 천해(淺海)·동중국해 수심 200m 해역의 대잠훈련에서 어뢰 발사에 고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게다가 “상어급도 잠수정(유고급·80t급-기자 주)도 바다에 공작원을 풀어놓는 것이 주임무이고, 어뢰발사는 부차적”이라며 “과거에도 좌초하거나 어망에 걸리는 등 북한의 조함(操艦)기술도 낮다고 여겨졌다”라고 설명했다.
즉, 한국 정부 발표 대로라면 북한의 소형잠수함이나 잠수정 운용 능력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수준이라는 의미다.
신문은 “이번 작전에 특화된, 기량 향상을 위한 맹훈련을 반복했다고 밖에 생각할 수 없는 ‘숙달된 모습’”이라며 놀라움을 표현하며 “북한이 이번 공격과 같은 능력을 갖춰왔던 것이 사실이라면, 한국뿐만이 아니라, 주한미군이나 해상자위대에게도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현섭 기자 afero@kmib.co.kr
|  | ▲ 유럽연합(EU) 집행이사회 안보전문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조명진 박사(47·방산컨설턴트) | ⓒ 조명진 블로그 '퍼펙트 유로피안' | |
|
유럽연합(EU) 집행이사회 안보전문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조명진 박사(47·방산컨설턴트)가 천안함 침몰 원인과 관련 북한의 '버블제트 어뢰 공격설'에 대해 "북한의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조명진 박사는 특히 최근 합동조사단 관계자가 북한이 범행을 감추기 위해 독일제 어뢰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독일제 어뢰는 북한이 보유한 잠수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알려진 바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이어 "독일제 어뢰는 우리 해군의 장보고함 209급처럼 1200톤급 이상에만 장착이 가능해 이 만한 덩치의 잠수함이 한미합동훈련 중에 백령도 해역에 들어온다는 것은 자살행위"라고 지적했다. 조명진 박사는 현재 한국인 최초로 유럽연합(EU) 집행이사회에서 동아시아 안보문제에 대한 자문역을 맡고 국제안보전문가다. 집행이사회는 EU의 4개 주요기관 중에 행정부에 해당한다. 그는 영국 런던정경대(LSE)에서 박사학위(유럽학)를 받고 스웨덴국방연구소(FOI), 본 국제군축센터(BICC), 독일국제안보연구원(SWP)에서 방위산업 분석담당을 역임했다. "북 잠수함 어뢰발사대, 독일제 어뢰와 호환성 알려진 바 없어" 조명진 박사는 8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북한 공격설 등 천안함 침몰 원인과 관련한 의혹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우선 '어뢰가 배를 직접타격하지 않고 선체에 근접 폭발해 버블제트로 천안함을 두 동강 냈다'는 민군합동조사단의 발표와 관련 "북한의 기술 현주소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 측면에서 모두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미군 이지스함 등 첨단 함정들이 인근 해역에 있었던 한미합동훈련 중에 천안함을 공격했다는 것은 우리가 방조하거나 허가하지 않았다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는 주장도 덧붙였다. 조 박사는 또 "그간 사용된 어뢰가 중국제 아니면 러시아제로 거론하다가 갑자기 독일제가 거론 된 것이 석연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적어도 1300톤이 되는 북한의 로미오급 잠수함이 이 어뢰를 사용할 수 있는데, 문제는 북한 잠수함의 어뢰발사대가 독일제 어뢰와 호환성(interoperability)이 있다는 건 알려진 바가 없다"며 "더욱이 로미오급 잠수함은 덩치가 크기 때문에 노출이 쉽게 되고 기동성이 떨어져 그(백령도) 해상에 있었다고 여겨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더군다나 천안함은 초계함으로 주 임무가 대잠수함 활동인데, 순식간에 당할 수 없다"며 "군함으로 접근 중인 어뢰를 감지할 장비들이 있어, 승선 해군장병들에게 대피하거나 anti-torpedo(적 어뢰를 직접 파괴하는 요격어뢰) 조치를 취할 경고시간은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박사는 이러한 내용의 글을 지난 8일 자신의 블로그 '퍼펙트 유로피안'에 올렸다. 지인으로부터 천안함 침몰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 질문을 받고, 그 답변을 블로그에 공개한 것이다. 그는 "또 다른 시나리오의 창출인지는 몰라도, 여러 겹의 베일에 싸인 천안함 침몰 원인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규명해 줄 것을 촉구하는 차원에서 기존의 혼동에 또 다른 혼동을 '기꺼이' 더한다"고 말했다. "북한 어뢰 공격? 방조 또는 허가하지 않은 이상 불가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