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 기간
2026~2030년 5개년
연평균 1,100억달러 투입
배당·이익 분배
투자 수익의 90%를 미국 법인이 귀속받도록 설계
일본 측은 배당 대신 우선주+세액공제 형식으로 회수
7월24일 새로 드러난 논점
핵심 투자 분야
반도체 공급망
미시간·텍사스에 2,200억달러 규모
파운드리/ 후공정 클러스터 신설
장비·소재 일본 기업 30% 지분 참여
미국 내 첨단칩 자급도 제고 및
日 장비·소재사 매출 확대 목표
에너지·LNG
알래스카 LNG 액화 모듈 공장
건설비용 1,500억달러 대출·보증
프로젝트 지분 20%는 일본 상사 3사가 인수
美 가스 수출 증대, 日 에너지 안보 다변화
배터리‧전기차
전기차 배터리 셀·모듈 합작공장(미시간)
재활용 설비 구축 400억 달러 투자
美 IRA 세액공제 대상 확보
양국 EV 공급망 강화
AI‧양자 연구
실리콘밸리 공동 R&D 캠퍼스‧데이터센터 건립
스타트업 펀드 조성 350억 달러 투자
日‧美 공동 특허·인력 교류 확대
인프라 매칭
IRA·CHIPS법 보조금과 1:1 매칭
고속충전망·수소 허브 투자 500억 달러
美 녹색인프라 가속, 日 건설‧플랜트기업 수주 기회
기타(핀테크‧스마트시티 등)
핀테크 합작, 스마트항만·물류 자동화 시범사업
혁신 서비스 실증, 양국 스타트업 교류 50억 달러 투자
전략 광물
네바다·애리조나 리튬 제련소
미네소타 니켈 제련소에 350억달러 직접투자
투자 조건으로 미·일 공동 비축제도 추진
EV 소재 자산 확보, 美 핵심광물 공급망 내재화
바이오·의약품
mRNA 백신·항바이러스제 플랜트 신설 400억달러
팬데믹 비축 의무 물량 40%를 미국 정부가 사전 구매
美 보건안보 강화, 日 제약사 북미 시장 확대
조선·방산
루이지애나·앨러배마 조선소 현대화 250억달러
보잉 항공기 100대(약 150억달러) 구매 계약 포함
美 제조 일자리 창출, 日 조선·항공 부품 수주
일본 측 재원 조달 구조
일본정부계 금융기관(JBIC·NEXI) 융자 2,000억달러
일본 대형은행 + 연기금 프로젝트 본드: 1,500억달러
민간 기업 직접 출자: 1,000억달러
국채·재정준비금 활용 특별회계: 1,000억달러
운용 구조
전용 펀드 ‘US-JP Strategic Investment Facility’ 설립
미국 재무부·일본국제협력은행(JBIC)이 공동 GP
자본(Equity) 투자 2,100억 달러
집행 주체 : 도요타·소니·소프트뱅크 등 민간 컨소시엄
반도체·배터리 합작공장(미시간·텍사스)
AI·양자컴퓨팅 연구캠퍼스(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백신·의약품 공장(노스캐롤라이나)
대출·신용보증 2,400억 달러
집행 주체 : 일본국제협력은행(JBIC)·미국 DFC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모듈 건설비
희소금속 정련시설(네바다)
조선소 현대화(루이지애나)
인수·지분 교환 500억 달러
집행 주체 : 미·일 연기금, 전략펀드
美 소재 리튬·니켈 광산 지분 30%까지 인수
우드사이드·엔지(ENGIE) 등 에너지기업 지분 매입
인프라 보조금 매칭 500억 달러
집행 주체 : 日 경산성・모테기펀드
美 인플레이션감축법(IRA) CHIPS법
보조금에 1:1 매칭 투자
CSIS·피터슨 연구소
제조·에너지 집중 투자로 美 GDP 0.4%p↑ 전망
대신 일본 GDP는 초기 0.1%p↓ 후 장기 상쇄 예상
위 내용은 2025년7월24일 까지
미국 백악관 팩트시트, Reuters·WSJ 등
주요 외신 및 일본 경제산업성‧재무성 브리핑을 종합
스냅백 연동
분기별 투자 이행률이 85% 미만이면
자동차 관세 25% 복귀 가능 조항이
부속서 초안에 포함됐다는 美 재무장관 발언
일본 언론은 “합의문에 없는 미국식 해석”이라며
외교적 공방 조명
자동차 인증 간소화 물량
NHK “연 24,000대→25,000대 확대 협의” 단독 보도
농산물 쌀 TRQ
일본 농림수산성 브리핑 인용, 7만t→8만t 확대 검토
디지털·환율 규범
11월까지 별도 타결을 시도
전체 패키지의 2단계 협상으로 이동
일본 내각
이시바 총리 “문서화 안 된 내용은 합의 아닌 해석”
이라며 미국과 공동 해설서 작성 추진 선언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