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봉 연도는 대한민국 국내 개봉 기준입니다.
* 관련 자료는 KOBIS(영화관 입장권 통합 전산망)을 참고했습니다.
* 극장에서 제일 먼저 공개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들(ex: <스즈메의 문단속>,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제외합니다.
드래곤볼
<드래곤볼 Z: 신들의 전쟁(2013)> 44,231명
인기와 유명세에 비해 국내 관객수가 제일 부진한 시리즈.
비록 과거에 비하면 많이 떨어졌지만 100만 관객 이상은 꾸준히 들어오는 일본,
아예 흥행의 중심으로 올라선 서양에 비하면 대한민국의 영향력은 미미하기 그지없습니다.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가 훌륭한 퀄리티로 흥행할 때도 국내 관객수는 35,703명에 그쳤습니다.
과거의 영광은 안 돌아오는 걸까요.
슬램덩크
<더 퍼스트 슬램덩크(2023)> 4,903,225명
<스즈메의 문단속>,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와 더불어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최전성기 2023년을 이끈 작품.
개봉일 62,090명로 출발해서 500만에 근접한 성적을 찍어버린 역주행의 신화입니다.
너무 연식이 오래된 IP, 그리고 연령대가 높은 남초 팬덤의 한계상 흥행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됐으니
예상치 못한 젊은 여성팬들의 신규 유입으로 인해 꾸준히 입소문이 나며
잠깐이지만 일본 애니메이션 전체 1위를 찍기도 했던 작품.
원피스
<원피스 필름 골드(2016)> 217,257명
인기와 유명세에 비해 국내 관객수가 제일 부진한 시리즈 2.
일본에서 역대급 흥행을 터뜨린 필름 레드조차 20만명에 그쳐, 국내 원피스 팬덤의 소비력에 대한 의문에 박차를 가하기도.
여담이지만 <원피스 스탬피드> 개봉 당시 '아무리 그래도 첫 주 10만 명은 보겠지?'하는 생각에 굿즈를 그만큼 준비했지만
최종 관객수 21,169명이라는 처참한 성적을 거두기도 했습니다.
나루토
<보루토: 나루토 더 무비(2015)> 64,267명
인기와 유명세에 비해 국내 관객수가 제일 부진한 시리즈 3.
제목만 보면 보루토 극장판이지만, 일단 공식적으로 나루토 극장판 시리즈에 속하기 때문에 집계했습니다.
해외 성적을 포함해도 나루토 극장판 중 최고 흥행작이기도 하고 국내도 그렇지만,
6만 4천 명은 나루토라는 만화의 유명세를 감안하면 많이 아쉽네요.
포켓몬스터
<포켓몬스터 DP: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2022)> 581,216명
전세계 1위 IP답게 국내에서도 제법 인기가 많아서,
일본 TV 애니메이션 극장판의 벽이라고 불리는 50만 관객을 3번이나 돌파한 시리즈입니다.
(나머지 둘은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580,119명)>, <너로 정했다!(509,555명)>)
관객수도 점점 우상향 중이라 앞으로도 50만 명 극장판을 꾸준히 배출할지 궁금하네요.
<도라에몽 스탠바이미(2014)> 504,153명
포스터에서 알 수 있다시피 최초의 도라에몽 3D극장판이었고,
포켓몬스터, 명탐정 코난에 이어 역대 3번째 50만 관객 극장판을 배출한 시리즈.
아쉽게도 그 이후 국내 도라에몽 인기는 날이 갈 수록 우하향을 그리며 이젠 성공 기준이 10만 명으로 내려왔습니다.
짱구는 못말려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2023)> 945,457명
엄마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도 다 아는 그 만화.
이미 옛날부터 국민 애니메이션이었지만, 2020년대 들어서 극장판 흥행의 체급이 부쩍 늘었습니다.
실제로 50만 관객 돌파 작품들은 전부 2020년대 개봉작들.
명탐정 코난 다음으로 50만 관객 돌파작이 많은 시리즈.
<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 73.1만
<우리들의 공룡일기> 80.8만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 83.6만
<신차원!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94.1만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최전성기인 2023년엔 9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짱구라는 IP의 위력을 제대로 실감 나게 해준 효자 시리즈.
명탐정 코난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2023)> 801,511명
짱구는 못말려와 더불어 일본 TV 애니메이션 극장판의 든든한 국밥을 담당하고 있는 꾸준함 GOAT.
매년 극장판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거의 흥행에 실패한 적이 없습니다.
역대 50만 관객 돌파 극장판 최다 기록 보유 애니메이션 시리즈.
<순흑의 악몽> 52.2만
<11번째 스트라이커> 52.5만
<천공의 난파선> 62.8만
<침묵의 15분> 64.4만
<칠흑의 추적자> 66.1만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75.3만
<흑철의 어영> 80.1만
흥행에 실패한 극장판은 일본 불매 운동의 영향을 받은 <감청의 권(2019)>과 코로나 직격탄에 맞은 <비색의 탄환(2021)>뿐.
특히 여성 팬덤의 화력이 엄청나, 관객 성비가 40:60 이상으로 늘 박살(?)나는 시리즈기도 합니다.
여초 팬덤답게 구매력이 매우 강해서 굿즈 장사는 항상 호황, 실질적 매출은 짱구 이상을 자랑하는 효자 IP.
하이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2024)> 740,867명
국내에서 슬램덩크 다음으로 흥행한 스포츠 애니메이션.
코난 이상으로 여초 팬덤의 화력이 강한 시리즈로, 수없이 많은 N회차 인증과 입소문으로
다른 인기 애니메이션들에 비해 다소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70만 명이라는 벽을 깨버리는데 성공했습니다.
그 이후로 홍대거리 등 오타쿠들이 많이 모이는 성지에는 하이큐 굿즈가 대폭 늘어났다는 후일담.
진격의 거인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2025)> 949,187명
진격의 거인 마지막 파트를 한데 묶어 편집한 총집편. 새로운 내용은 거의 없습니다.
이 극장판이 정말 대단한 점은, 많은 관객수를 동원하기 어려운 총집편인데다 메가박스 단독 개봉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TV 애니메이션의 벽이라고 불리는 100만 관객을 깰 뻔했다는 점.
유행한지 거의 10년이 넘어가는데도 여전히 활활 타는 팬덤의 힘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역대 메가박스 단독 개봉작 관객수 1위.
주술회전
<주술회전 0(2021)> 730,239명
흔히 말하는 현재 만화 3대장 귀주톱의 '주'를 담당하고 있는 애니메이션.
팬데믹 시기에 개봉해서 73만명이라는, 상당히 훌륭한 성적을 거둔 작품.
100만 관객조차 드물어서 코로나바이러스에 허덕이던 극장가에 살 길을 틔워준 효자입니다.
본편 시점 이전의 이야기를 다룬 프리퀄이라 주역 3인방이 등장하지 않음에도 팬덤의 밀집력은 굉장했습니다.
최고 인기 캐릭터인 고죠 사토루는 다행히 등장해서일까요.
체인소 맨
<체인소 맨: 레제 편(2025)> 1,000,000명(진행형)
흔히 말하는 현재 만화 3대장 귀주톱의 '톱'을 담당하고 있는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화 수혜를 제일 못 받은데다 세 작품 중에 팬덤 화력이 꼴찌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작품성으로 입소문을 타고 뜻밖의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미 일일 관객수는 대한민국이 일본을 추월한 상태고 150만 명을 넘어서 200만 명도 노려볼 만한 추이.
개봉 전 팬덤 기대치(30~50만 명)에 비해 제일 성공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귀멸의 칼날
<귀멸의 칼날: 무한성 편(2025)> 5,152,737명(진행형)
흔히 말하는 현재 만화 3대장 귀주톱의 '귀'를 담당하고 있는 애니메이션.
GOAT. 말이 필요없습니다.
'일본 TV 애니메이션'이라는 딱지를 떼고 보더라도 국내나 할리우드 인기 시리즈의 흥행과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시리즈로
1, 2, 3, 4기와 이전 극장판 1개를 더 봐야하는 어마어마한 진입장벽에도 불구하고
500만이라는 믿기지 않는 수치를 넘어 이젠 일본 애니 역대 1위인 <스즈메의 문단속>의 558만 명까지 위협하고 있는 작품.
제일 놀라운 것은 이게 3부작의 겨우 첫 번째 작품이란 사실로,
서사적으로 평가가 더 높은 2부나 최종보스전인 3부에선 얼마나 높은 성적이 찍힐 지 궁금하네요.
역대 TVA 극장판 흥행 순위
1위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5,152,737명+@ (진행중)
2위 <더 퍼스트 슬램덩크> - 4,903,225명
3위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 2,219,167명
4위 <체인소 맨: 레제편> - 1,000,000명+@ (진행중)
4위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 - 949,187명
5위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 945,457명
6위 <짱구는 못말려: 꽃피는 천하떡잎학교> - 837,755명
7위 <짱구는 못말려: 우리들의 공룡 일기> - 809,879명
![]() |
![]() |